베를린, 기억의 예술관 - 도시의 풍경에 스며든 10가지 기념조형물
백종옥 지음 / 반비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냉전시절 독일이라는 나라가 냉전으로 분단되었던 흔적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도시 베를린. 최근 물가가 비싼 런던이나 파리를 피해서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는 유럽의 젊은이들이 모이는 곳이라는 이야기를 들어 꼭 가보고 싶은 곳이었기에 베를린을 소개하는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도시에서 접할 수 있는 문화예술 작품과 함께 그 속에 담겨있는 역사적 사실도 알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운 독서가 되었다. 아주 유명한 예술가의 작품이 아니라 자신들의 부끄러운 역사를 잊지않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모습이 담긴 작품들이기에 더욱 의미있는 작품들이라 생각되었다. 아마도 일반적인 여행가이드 책자를 통해서는 알기 어려운 작품들이 소개되었기에 무척 기억에 남는 독서가 되었다.


이 책에 소개된 10여개의 예술작푼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작품은 나찌시절 진행되었던 독일판 분서갱유의 기억을 담은 텅 빈 도서관이다. 작품이 주는 철학적 무거움과 함께, 사용된 표현 방식의 전위적인 형태나 주변 공간과 함께 어울어지면서 그 의미를 더해가는 모습 등도 무척 인상적이었다. 


영화 발키리를 통해 잘 알려진 히틀러에 항거한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을 연상시키는 흉상의 경우, 이 책에서 소개된 작품들 중 가장 일반적인 예술품과 유사한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이 작품의 경우는 이 흉상이 세우진 주위공간이 주는 추상적인 점이 무척 인상적인데, 이 공간에서 이 작품을 감상한다면 저절로 그가 가졌던 조국과 인류애(또는 정의)에 대한 갈등의 무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한 작품 더 소개하자면 추방된 베를린 유대인을 위한 경고의 기녑 조형물도 인상적이다. 저자의 표현대로 소멸되는 듯하면서도 벗어나기 힘든 운명에 처한 듯한 모습을 표현한 것이 무척 놀랍니다. 여기에 덧붙여 개인적인 의견을 추가한다면 서예작품이나 동양화에서 표현하는 방식과 유사한 표현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 작품을 더 잘 음미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아주 대단한 예술작품은 아니지만 자신의 부끄러운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작품들이라 인상적이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접한 4.3항쟁 기념상 등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의 작품들도 예술적으로 결코 뒤지지않는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세계의 다른 도시에 대한 책도 출간되길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