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줄다리기 -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톺아보기
신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평소에 의식하지 못하고 쓰는 단어의 의미, 특히 그 속에 숨은 역사적 배경이나 말의 기원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을 주장하는 책이다. 책 맨 처음의 각하, 그리고 대통령에 대한 글이 가장 흥미롭고 인상적이다. 예전에는 대통령에 각하라는 호킹이 붙었지만 현재는 님 정도의 호칭만 사용하는 것 같다. (가카로 불리는 사람은 제외하고...)


그래서 예전에는 엄청난 극존칭의 말인 줄 알았지만, 이 책에서 이야기는 이 각하의 어원을 보면 폐하, 전하, 저하, 합하 아래에 사용된 말로 기거하는 건물의 이름을 따서 만든 것임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그런 의미로 봉건적인 사고개념이 바닥에 깔린 단어라는 점을 새롭게 알게되었고 민주주의 국가에서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각하라는 개념이 장관급 정도에 사용되었는데 일제 강점기 때 장관급인 총독에게 이 호칭을 사용하다 그대로 대통령에게 사용되었는 내용을 보니 역사적으로도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호칭을 대통령에게만 사용하자는 등의 법령도 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니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다고 생각한다.


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남아있는 단어들에 대해서는 최근 많은 논의가 되고 있고, 이 책의 내용도 비슷하다. 저자의 주장에 대해 특별한 이견은 없지만 한정된 지면에서 성차별에 대한 이야기가 너무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도 든다. 성차별 이외에도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선입견이나 차별이 포한된 단어의 예가 어떤 것이 있을 지 무척 궁금하다.


항상 어린이나 학생들의 어휘에 대해 문제삼는 어른들의 사고방식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로왔다. 개인적으로는 최근 청년층이 높임말 사용을 이상하게 사용하는 것을 문제시하기도 하고 그 이유를 탈 권위주의의 경향이라고 생각한 적도 있었는데, 저자의 새로운 시각과 분석이 무척 참신하게 느껴졌다. 특히, 높임말이 세대간의 의사 소통의 장애물이라는데 무척 공감한다. 


자장면과 짜장면으로 대표되는 우리말 맞춤법의 문제에 대한 내용도 저자의 의견에 무척 공감한다. 특히 외국어 표기법같은 경우 매우 짜증나는 경우도 많은데, 언어는 규칙보다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각과 습관을 따르는 것이 우선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말에 대해 생각해 볼 이슈에 대해 많은 화두를 던진 책인데  우리 사회가 보다 민주적이 된다면 다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말은 우리사회가 민주화된 정도를 보여주는 표시자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