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추락한 이유
데니스 루헤인 지음, 박미영 옮김 / 황금가지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영화화된 데니스 루헤인의 작품은 <미스틱 리버>나 <살인자의 섬> 등 제법 보았고 모두 그 이야기의 반전의 매력에 흠뻑 빠졌었다. 하지만 책으로 읽는 것은 <우리가 추락한 이유>가 처음이었고, 앞선 이야기들보다 훨씬 더 강한 반전을 볼 수 있었다.
책에 있는 띠지나 책 표지 뒷부분에 있는 문구를 하나도 읽지 않고 책을 읽기 시작하여 정말 1%의 스포일러도 없는 상황에서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는데, 정말 개인적으로 큰 행운이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책의 중반까지 여주인공이 자신의 자아를 찾아가는 이야기이자 불확실한 사랑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했었다. (이 책을 읽기 바로 전에 읽은 책이 <이토록 두려운 사랑>인 점이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책 중반에 들어서면 여주인공이 범죄에 직면하게 되고 그 소용돌이를 헤쳐나가는 전형적인 스릴러물로 바뀌게 된다.
하지만, 책을 끝까지 읽은 후에도 이 책에 대한 내 생각은 여전히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가는 이야기이자 불확실한 사랑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범죄물 또는 스릴러물로서의 재미는 이야기의 반전이 처음 나오는 부분과 추적자들이 등장하는 부분까지는 염통이 쫄깃할 정도로 재미있지만 그 뒤로 가면서 이야기의 힘이 다소 빠지는 것에 반하여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이야기가 끝날 때까지 계속되고 심지어는 이야기가 끝난 후에도 계속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여주인공 혼자만이 아니라 다른 등장인물들도 계속 호란스런 정체성을 보여주기 떄문이다. (이 책의 제목 <우리가 추락한 이유>가 된 이유를 자신의 정체성의 잃어버리고 혼란스러워졌기 때문이라고 답하고 싶다.)
이 여주인공의 삶의 배경으로 이용된 그녀의 어머니의 삶과 가족을 버리고 간 아버지, 그리고 또 하나의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가 본 주인공의 이야기보다 어쩌면 더 인상적이고 여운이 남는다. 특히 뭐 하나 부러울 것 없었던 자신만만한 여성이었던 여주인공의 어머니의 이야기가 문학적으로 매우 훌륭하다고 느껴지고 그녀에 관한 이야기를 좀 더 자세히 읽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저자 데니스 루헤인도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우리가 추락한 이유>의 핵심이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하였지만, 불확실한 사랑에 대한 두려움을 이 이야기만큼 잘 나타난 책은 그 동안 보지 못한 것 같다. 영화나 소설에서 두 사람이 서로 사랑하면 그 사랑에 대한 믿을 뿐이지 완전하게 서로의 사랑에 대해 확신을 가지는 것은 무척 어렵다. <이토록 두려운 사랑>을 읽은 직후 이 책을 읽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서로 사랑하는 커플들은 실제로는 한 곳을 바라 본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본 듯한 느낌을 주어, 사랑이라는 감정이 이토록 불완전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이야기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서도 사랑에 대해서도 이야기의 끝까지 답을 주지 않는다. 아니, 저자 역시 답을 줄 수 없다. 다만 다음과 같은 막연한 느낌이 있을 뿐이다.
이게 어떻게 끝날진 모르겠어. 내 진짜 위치를 모르겠어. 그녀는 어둠에게 말했다. 하지만 그녀가 받은 유일한 답은 더 깊은 어둠뿐이었다. 하지만 위층에는 빛이 있을지도 모르고 다시 밖으로 나가면 분명 빛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떤 운명의 장난으로 빛이 없다면, 세상에 남는 것이 밤뿐이고 빠져나갈 길이 없다면? 그렇다면 그녀는 밤과 친구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