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나는 아이로 키우는 자존감 육아 - 심리상담가 엄마와 의사 아빠의 20년 부모공부 이야기
이미형.김성준 지음 / 오후의책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아이든 남의 아이든

아이 키우는 일은 정말 힘든 일이다.

뉴스에 오르내리는 아이들의 무서운 일탈을

어찌 받아아들어 될까.

내 아이의 일이 아니라 다행스러운가.

그런 아이가 같은 반 친구라면...

옆집 아이라면...

결코 남의 일은 아니다.

그래서 교육은 온 사회가 책임져야할 일이다.

부모는 특히 더 그렇다.

부모는 더욱 잘 할 일이다.

 

그러면 꿈을 키우는 긴 과정에서 가장 흔히 자녀가 꿈을 포기하거나 꿈이 없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꿈이 너무 원대하고 혹은 너무 비현실적이었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아서 꿈을 포기했을까요? 지나치게 원대한 꿈도, 현실적인 이유도 꿈을 포기하는 이유가 됩니다. 그런데 생각보다는 사소한 것 때문이 꿈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먼 길을 가는데 포기하는 것은 길이 멀어서가 아니라 신발에 들어간 작은 돌멩이 때문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상담을 하면서 꿈이 없다고 하거나 꿈을 불신하거나 무서워하는 내담자 중에는 심리적인 문제로 꿈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 심리적 문제는 주변에서 자주 듣는 비난과 지적 그리고 반복되는 부정적 의견 등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것도 못하면서 그게 되겠니."
"그거 해서 뭐하려고 그러니."
"안 되면 어떡하니."

자신의 감정을 순화하고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도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사랑해."라는 감정을 다른 이성에게 적절히 표현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사랑의 표현도 그 전에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고 느끼는 연습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이렇게 자신의 정서와 감정을 이야기하는 것은 자녀에게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다른 사람의 감정과 정서를 이해하는 것에도 도움이 됩니다. 상담을 하다보면 이미 성인이 되었음에도 자신의 감정 상태를 너무 모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것이 너무 심해지면 감정에 무감각해지고 다른 사람의 감정에 전혀 관심이 없는 괴물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