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소설 <소현>을 읽었다. 병자호란을 겪고 청나라에 나라의 주권을 빼앗겼으며 세자인 소현세자와 인조 왕의 둘째 봉림대군까지 볼모로 청나라로 잡혀갔던 소현세자의 비극적인 삶을 이야기하는 소설이었다. 그 소설 속에서는 언제나 옆에 있던 세자빈에 대해서는 어떤 말이 없었다. 소현세자와 인조 왕과 그리고 청나라의 여러 대신의 이야기와 전쟁이야기와 그로 말미암은 백성의 고달픔을 얘기했다. 그래서 사실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세자빈. 그 빈궁의 이야기를 이 소설에서는 이야기하고 있다. 세자와 함께 청나라로 가 볼모의 생활을 했으며, 고국으로 돌아와서 세자의 죽음과 시아버지(인조 왕)의 냉혹함을 뼈저리게 겪어야만 했던, 비운의 세자빈 이야기가 소현세자와 함께 있다. 이미 <소현>을 통해 어떤 결말인지 알고서 읽는 마음은 더욱 편치 않았다. 나라의 조정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 나라를 책임지고 잘 통치하지 못하면 나라는 이미 나라가 아닐지도 모른다. 임금은 임금이기에 마음 내키는 대로 살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 백성은 어찌하란 말인지. 이 소설에서는 여자의 치마폭에 싸여 이성을 잃은 임금이 있다. 그 임금은 광해군을 몰아냈다. 그렇기에 당신도 내쫓김을 당하지나 않을까 내심 불안해했을지도 모른다. 자기 자식인 소현세자도 자신의 왕위를 위협하는 존재로 느껴 정을 거두니. 그랬기에 읽고 있는 마음이 무거웠다. 소설 <소현>에서는 인조 왕과 소현 얘기는 사실 하다만 것 같은 느낌이었고, 많은 것을 생략했기에 역사를 잘 모르는 나 같은 경우는 그 둘의 관계에 대해서 어렴풋이 알고 넘어간 것에 위안을 삼았다. 그리고 청나라 대신들 이름도 헷갈리기 일쑤였다. 그런데 이 소설은 자세히 설명해주어 <소현>에서의 궁금증이 확 풀어지는 느낌을 받았다. (굳이 순서를 정한다면 이 소설부터 읽고 <소현>을 읽는 편이 두 소설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처음에는 약간 지루한 국사책 정도의 느낌이었지만(역사소설은 그런 부가설명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 뒤로 갈수록 이해가 빨라지며 더는 국사책이 아니게 된다. 비참했던 소현세자의 가문의 슬픈 감정이 고스란히 전달된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이 어디 있느냐는 말로 우리는 여러 자식의 소중함에 대해 말한다. 물론 지당한 말일 것이다. 그런데 그런 아픔도 판단력이 떨어질 정도의 욕심이 개입되면 아무 소용없어지는 걸까. 이 소설에서 임금의 행위에 화가 났다. 반지의 제왕에서 사루만의 꾀에 넘어간 로한의 왕을 보는 듯 답답했다. 이 소설에서 임금은 미색을 겸비한 여인의 꾀에 넘어갔으니 그 왕과 뭐가 다를까. 아들을 며느리와 그 아들과 딸들, 그리고 며느리의 가족들까지를 끝까지 비참하게 대하는 임금의 모습은 정상적인 사람 같지가 않았다. 나를 분노하게 했다. 거부할 수 없는 비참한 운명 앞에 내놓아진 소현세자와 세자빈. 청나라에서 힘든 생활을 하면서도 그들과의 관계를 유지했던 것은 미래를 봄이었거늘, 잘 알지도 못하면서 오직 반감만 가지고 있었던 어리석었던 왕. 지금도 내 눈앞에 펼쳐지는 그림이기에 화가 난다. 나라를 다스리는 자의 어짊과 어리석음이 얼마나 백성의 삶을 바꾸는지 소설을 통해, 역사를 통해 알게 된 것 같았다. 얼마 전에 선거가 끝났다. 권세를 잡으려는 사람들보다는 국민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라를 다스렸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인조 왕의 어리석음이 또다시 되풀이되지 않는 나라가 되었으면. 그래서 행복한 국민이 사는 나라가 되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