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의 몸값 1>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올림픽의 몸값 1 오늘의 일본문학 8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도쿄만 부와 번영을 독차지하다니, 결단코 용서할 수 없는 일이에요. 누군가 나서서 그걸 저지해야 합니다. 내게 혁명을 일으킬 힘은 없지만, 그래도 타격을 주는 것쯤은 할 수 있어요. 올림픽 개최를 구실로 도쿄는 점점 더 특권을 독차지하려 하고 있어요. 그걸 말없이 보고만 있을 수는 없지요." (404쪽) 
 
나도 예전에 그런 생각을 했었다. 부조리하고 불공평한 이 사회를 젊은 패기로 바꿀 수 있을 거로 생각했다. 어떤 차별도 없는 나라를 바랐다. 그렇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 혼자선 어쩔 수 없다며 나 자신을 달랠 수밖에 없었다. 점점 나도 사회 안에 적응하는 법을 배워나갔다. 이왕이면 좀 더 나은 삶을 살고 싶다며 나 자신을 다독이며. 어린 시절 가난한 시골에서 태어나 시마자키 구니오. 공부를 잘해 도쿄대학에 가고 대학원까지 가게 된다. 그런데 어느 날 건설회사에서 일하던 형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날림숙소를 찾아가기에 이른다. 그리고 거기서 시마자키 구니오는 형의 생활을 체험하기 위해, 노동을 체험하기 위해 막노동을 하며, 그 속의 부조리함과 억울해도 말 못하는 사람들을 지켜보면서 국가에 뭔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기에 이른 것이다.

올림픽의 몸값이라니, 이 책의 첫 느낌은 '황당함'이었다. 얼마 전에 동계올림픽이 끝났다. 밴쿠버 올림픽에서 메달을 딴 선수들은 지금도 뉴스거리다. 그런 올림픽은 나는 그저 구경만 한다. 예전에 우리나라에서도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이 개최되었었다. 그때도 축제의 분위기 속에 있었던 사람이 있었겠고, 억울하고 가슴 아팠던 사람이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미처 알지 못했던 누군가의 억울함과 슬픔이 이 소설을 읽고 나니 보이는 듯해 마음이 아팠다.

이 소설의 배경은 1964년 도쿄올림픽의 전후 시간대이다. 올림픽을 준비하는 중에 폭발사고가 일어난다. 올림픽을 앞두고 올림픽과 관계된 장소가 폭발의 목표였다. 10월 10일 많은 사람이 모이는 개회식, 올림픽은 대외적인 행사이기에 일본에 그날은 아주 중요한 날이다. 그렇기에 폭발 같은 것을 일으킬 수는 없다고 생각하는 경찰, 오치아이 마사오. 올림픽의 몸값을 돈으로 요구하고 들어주지 않으면 폭발한다는 남자, 시마자키 구니오. 그리고 올림픽 경비본부 최고책임자의 둘째아들, 스가 다다시. 이렇게 세 사람이 주요 인물이고 그들 자신의 위치와 상황에 따라 올림픽과 폭발 사건을 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로 말미암아 같은 사건이라도 입장에 따라 어떻게 보는지 세 가지의 다른 계층으로 구분해 놓은 듯해 책을 읽으며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빠져들어 가는 것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