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의 맛>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백석의 맛 - 시에 담긴 음식, 음식에 담긴 마음
소래섭 지음 / 프로네시스(웅진)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나는 예전에 시를 좋아했었다. 시집은 나의 필수 아이템이었다. 시를 내 멋대로 해석하며 읽는 것도 내가 느끼는 감정대로 뭔가를 적어보는 것도 좋았다. 그런데 중학교 때쯤 국어 시간이었다. 시에 내가 생각한 것과 다른 해석을 해 마음에 들지 않았었다. 게다가 교내에서 열리는 백일장에서 한, 두 개씩 당선된 나의 시들도 선생님들이 자기들의 생각으로 나의 시를 쪼개고 있었다. 내가 생각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생각이 그 시에 강요되어 있었고, 그것이 아니라고 말하기에는 나에게 선생님의 존재가 너무 컸다. 나는 선생님의 말에 그저 맞는다고 고개만 끄덕일 뿐이었다. 그 후로 난 시집을 사는 일도 시를 지어보는 일도 그만두었다. 그리고 지금의 나는 시는 어렵다고 고개만 설레설레 흔들고 있다. 이 책을 만나고 두 번째 단락에 들어가는 순간, 나는 나의 옛일이 떠올라 기분이 상한 것이 사실이었다.
이 책은 백석이라는 시인의 시를 소개하는 책이다. 저자는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백석이라는 시에 매료되었고 잘 알고 있었겠지만, 사실 나는 몰랐다. 중학교 이후로 내가 시를 멀리한 데 그 이유가 있었는지도 모르지만,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백석의 시를 아직도 모르는 사람들이 있다."라고 말하는 저자의 말에 조금 어안이 벙벙했다. 그렇게 유명한 사람이었나 싶어 주위 사람에게 물어봤지만 다 모른다는 말뿐이었다. 이런 자신감은 어디서 나오는지. 그러면서 백석의 시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이 책을 펼쳤다고 했다. 그렇지만, 백석의 시보다 저자의 생각이 더 어려웠다. 백석의 시를, 백석을 사랑하는 저자의 마음은 알 것 같은데 그 풀이방식은 너무나도 마음에 안 들었다. 백석의 시를 가까이하란 말인가, 멀리하란 말인가.
백석의 시는 음식이 많이 나온다고 했다. 그것도 서민의 음식이 주가 되었고 어떤 그리움이나 백석의 인생의 한 점을 찍을 수 있는 곳에서의 음식이라면 음식의 출신쯤은 신경 쓸 것이 아니었다. 그리고 백석의 시에는 공동체적인 어울림이 있었고, 시의 해설에서 모호함이 있었다. 그리고 백석은 월북시인(재북시인이든)이라 평안도 사투리나 어려운 말이 많이 나온다. 밑에 해석을 읽지 않고서는 멍 때리고 있어야만 했다. 그렇지만, 해석을 함께하고 나면 소소한 일상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왠지 모를 그리움도 불러들였다. 슬그머니 던진 음식 하나에도 시인이 가지는 느낌들을 느낄 수 있는 것 같았다. 물론 저자의 설명은 백석의 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는 했다. 시 같은 건 외면해 버린 지 오래된 나였지만 왠지 모르게 백석의 시가 좋아진 건 사실이니까. 그렇지만,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다. 너무 철학적으로 다가갔고, 너무 깊게 빠져 백석의 시를 쪼개는 느낌이었으니까.
시는 시로 느낌대로 읽는 것이 제일 좋은 것이 아닐까, 하고 언제나 생각한다. 학교에 다닐 때처럼 시를 강압적으로 쪼개버리면,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돌아서게 하는 것일 뿐일 테니 말이다. 예전의 나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