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안,지날 때까지>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피안 지날 때까지
나쓰메 소세키 지음, 심정명 옮김 / 예옥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쓰메 소세키라는 작가를 처음 만난 것은 <도련님>을 통해서였다. 사실 꽤 유명한 소설이고 일본에서는 알아주는 작가이지만 사실 <도련님>을 읽은 나는 그렇게 별다른 감흥이 없었다. 그래서 일본소설은 장르소설 빼고는 나랑 안 맞는다고 생각하고 잘 선택하지 않는다. 그랬기에 이번에 이 책 <피안 지날 때까지>도 그럴까  싶어 책을 들기 전부터 걱정되었다.

이 책의 표제인 <피안 지날 때까지>에서의 피안은 춘분 또는 추분 절기의 전후 7일간이라는 뜻이다. 작가가 설날부터 피안이 지날 때까지 쓸 예정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표제라고 한다. 그리고 소설은 장편 같은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편이지만 게이타로라는 인물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렇지만, 모호하게도 게이타로는 그저 이야기를 이어가게끔 하는 인물일 뿐이다. 실제의 이야기 속에서는 게이타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게이타로의 이야기는 없다.

게이타로는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 도쿄에서 하숙한다. 직장을 구하려고 하지만 잘되지 않았다. 그러나 게이타로는 급한 것은 없기에 휴식기간을 가지기로 한다. 게이타로는 같은 하숙집의 모리모토의 이야기를 듣기를 좋아했는데, 휴식기간을 가지면서 그와 자주 이야기를 하게 되었고, 그의 이야기에는 자신이 하지 못한 경험들이 들어 있다. 모리모토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탐정의 꿈도 키우지만, 막상 탐정이 되려고 하면 변명부터 떠오른다.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였다. 긴박한 의지가 없는 꿈이었다.

모리모토가 떠나고 게이타로는 친구 스나가를 자주 방문하게 된다. 스나가는 대학을 졸업하고 좋은 직업을 소개받기도 하지만 일을 하지 않는다. '고등유민(고등교육을 받고도 직업이 없이 지내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소세키가 처음 사용한 단어)'이었다. 스나가의 이모부가 좋은 자리를 소개해준다는 정보를 듣고 게이타로는 스나가의 이모부의 집으로 가게 되고 탐정의 일을 하나 맡게 되면서 스나가의 집안의 일들을 알아가게 된다. 게이타로가 탐정의 일을 해보고 싶다고 해서인지 이야기는 탐정소설처럼 흘러간다.

이 소설은 점을 보러 간 게이타로에게 점쟁이가 한 말('자기 같으면서 남 같고, 긴 듯하면서 짧고, 나올 듯하면서도 들어갈 듯')처럼 모호하다. 게이타로를 통해서 스나가의 집안 이야기를 알아가지만 게이타로는 이야기를 들을 뿐, 어디에도 등장인물로 등장하지 않는다. 마치 독자나 게이타로나 마찬가지의 역할을 하는 듯했다. 스나가의 비밀을 알아가면서 스나가의 인생을 알아가게 되었고, 자신을 이겨나가는 스나가를 보게 된다. 그리고 그 가족의 일들을 천천히 알아가게 된다.

아주 오래전(1910년대)에 쓰인 소설이지만 지금 읽어도 손색이 없을 만큼 괜찮은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