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균형>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적절한 균형 아시아 문학선 3
로힌턴 미스트리 지음, 손석주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이 책을 받았을 때는 책의 엄청난 두께에 놀란다. 거의 900페이지에 달하는 무거운 책을 들고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니 한숨부터 나왔다. 그리고 책을 천천히 읽어감으로써 다가오는 우울하고 무자비하고 어두운 책 속 주인공들의 삶이 책을 든 손에서 느껴지는 것만큼 묵직하게 다가왔다. 어쩌면 이렇게 무거운 인생 이야기는 가볍게 들고 읽는다는 것이 죄가 된다는 듯이 책과 또 그 내용이 무겁기만 했다.

이 소설은 인도 소설이다. 얼마 전에 읽었던 인도소설에 이어 이번에도 이어지는 인도소설. 예전에 읽었던 소설은 인도에 대해 조금 훑어볼 기회가 있었다고 한다면, 이번 소설은 그 굵기 만큼이나 인도에 대해 그리고 그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모습에 대해 더 깊게 다가갈 수 있다. 밝은 모습은 없고 내일도 알 수 없는 그 속에서 어떻게 살아갈까, 싶지만 그래도 그들은 살아간다. 소설 속 경찰들의 말처럼 그들은 잘 견디며 살아가고 있다.

소설 속 배경은 국가비상사태 체제였던 1975년에서 1977년 그 사이의 어지럽던 국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 시절 국가가 국민에게 폭력과 불공평함만 남기고 자신의 이익만을 챙기고 있을 때 국민이 얼마나 힘든지 알려고 하지 않았다. 그로 말미암아 겨우 살아가는 빈민굴 판잣집도 빼앗기고, 억울하게 경찰에 잡혀가기도 해야 하고, 불가촉천민이라고 굴욕을 당해야 하며, 어떤 폭력이나 비굴한 가난을 경험하지만, 국가는 아랑곳하지 않는다. 개인이 그저 살아남기 위해 처절한 몸부림을 치는 수밖에 없다.

디나, 마넥, 이시바와 옴프라카시가 바로 그들이다. 디나는 의사인 아버지를 여의고 오빠의 강압적인 자세로 학교도 마치지 못하고 집에만 있다가 결혼을 하지만 그녀는 3년 만에 남편을 사고로 잃는다. 오빠네 집으로 들어가 살아보지만 독립하기로 마음을 먹고 남편의 아파트로 가서 살게 된다. 그 집에서 마넥을 하숙하게 되고 이시바와 옴프라카시가 재봉사로 자택근무를 하기 위해 그녀의 아파트로 오게 된다. 카스트제도의 불가촉천민이었던 이시바와 옴프라카시는 고향에서 이시바와 옴프라카시의 계급보다 더 높은 계급의 카스트에 아무런 죄도 없이 가족들이 몰살을 당하고 돈을 벌기 위해 도시로 온다.

그리고 마넥은 아름다운 경치가 발전에 의해 사라지자 아버지와 마찰이 늘어나 결국 도시의 대학으로 공부하러 오고 디나의 집에 하숙하게 된다. 마넥은 옴프라카시와 동갑이라서 둘은 잘 친했다. 언제나 같이 얘기하고 놀기도 같이 놀고 했지만 그들의 운명은 비슷하지 않았다. 마넥은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지만 옴프라카시는 내일에 대한 보장도 없었고 국가의 폭력에 언제나 말려들었다. 그래서 답답했고, 그래서 책을 자주 놓았다.

'적절한 균형'이라는 책 제목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무엇에 대한 적절한 균형이란 말인가. 빈부의 적절한 균형이란 말인가, 책 뒷부분 역자의 말에는 개인과 국가 간의 균형이라고 했다. 국가의 일방적인 통행을 어떻게 균형을 이루란 말인지. 이 책은 여러 가지 인도의 문제들을 소설 속 네 사람에 의해서 하나씩 밝혀진다. 그 속에서의 잔인함과 그래도 살아야 하는 그들을 보니 마음 한쪽이 서늘했다. 똑같은 지구에서 똑같은 시간을 할당받아 살지만 너무 다른 삶에 난 언제나 한탄을 한다. 그렇지만, 어쩌랴. 그것이 인생이고 그래도 살아갈 수밖에 없으니.

책을 다 읽고나서 이 책의 표지를 보니, 한 아이가 긴 장대에 매달려 있고 그 장대는 엄지손가락 하나에 의지해 있다. 저 먼 곳을 향해 손을 뻗는 아이는 장대의 불안한 흔들림 속에서도 평화롭고 균형이 잡힌 미래를 맞이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