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문>을 읽고 리뷰해주세요.
달의 문
이시모치 아사미 지음, 김주영 옮김 / 씨네21북스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매일 밤 달을 볼 수 있다. 매일 밤 볼 수 있기에 가깝게 느껴지다가도 닿을 수 없는 위치에 있기에 또 멀게도 느껴지는 것이 달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일지는 모르지만, 사람들은 달에 많은 것을 부여하기도 한다. 가령 달에 정화수를 떠놓고 소원을 빈다든지,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날이면 그 현장을 꼭 보고 싶어한다든지. 보름달이 뜨면 손에 손잡고 노래를 부른다든지, 마찬가지로 보름달이 뜨면 늑대인간이 늑대로 변한다든지. 그리고 아주 기본적으로 토끼가 떡방아를 찧는 장면을 연상하기도 있다. 이렇듯 우리에게 달은 많은 의미가 있는데 여기 이 소설에서도 달은 큰 의미가 있다.

학교에서 적응을 못 하는 아이들을 위한 캠프가 있다. 이 캠프를 진행하는 사람은 이시미네 다카시이고 이 이시미네를 도와주는 스태프들이 있다. 그 스태프들도 캠프 참가자이고 이시미네의 카리스마에 감동하여 그를 스승님으로 부르며 따르고 있다. 신기하게도 그 캠프를 다녀온 학생들은 삶의 희망을 찾고 사회생활을 원만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소설 속에서는 이시미네의 카리스마가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마음을 편안함으로 인도한다고 하는데 사실 그 부분이 명확하지 않다. 어떻게 그렇게 변하는지 궁금한데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를 의심하는 사람이 생기고 약간의 문제도 생긴다. 그것으로 말미암아 이시미네는 억울하게 감옥에 갇히게 된다.

예상하지도 못했던 이시미네의 체포 때문에 스태프(가키자키, 마카베, 사토미)들은 비행기 납치 계획을 짜고 실행에 옮긴다. 그들의 요구는 이시미네의 석방이 아니라 공항으로 데리고 오라는 것이다. 경찰들은 조금 이상하다 생각하지만, 여전히 이소설에서도 답답하게 행동하는 건 마찬가지다. 납치범들은 비윤리적이지만 아이들을 인질로 데리고 기내의 200여 명을 협박한다. 그러는 중에 살인 사건이 화장실에서 일어난다. 화장실 문은 닫혀 있다. 밀실인데 어떻게 사건이 일어날까. 그렇지만, 범인은 생각보다 쉽게 알아볼 수 있다. 그래서 화장실의 살인의 범인이 누구인지보다 그 방법이 더 궁금했다. 그렇게 그들은 뜻을 이루고 달을 맞이하지만, 과연 그들이 원하는 대로 될까. 특이한 것은 사건을 푸는 사람은 스태프들이 아니다. 그 도시에서 여행하고 돌아가는, 자마미 섬을 프린트한 티셔츠를 입은 사나이이다. 그는 '자마미 군'으로 불리며 사건을 해결해 나간다.

세상에서 태어나는 것은 분명히 뭔가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말이 있다. 그렇게 살아가다 보면 힘들어질 때도 있고 또 잘 풀릴 때도 있을 것이다. 그런 일들을 잘 극복해 가며 살다가 죽음 앞에 서면, 이 삶을 다시 살아가고 싶을까. 아직 다 살아보지 못해서 잘 모르지만 그런 생각들이 스쳤다. 죽음 뒤에 오는 '재생의 세계'(250쪽)에서 재생을 거친 후 다시 사람으로 태어날 수 있을까. 그리고 그런 재생의 시간만 계속될 수 있다고 한다면 나는 그 말을 믿을 수 있을까. 경험하기 전에는 알 수 없고, 경험하고 나면 말을 할 수 없으니 알 수 없지만 나는 믿을 수 없을 것 같고, 그런 얘기를 하는 그들이 이상한 종교집단으로 생각할 것 같다. 그러면 캠프 스태프들은 그럴 것이다. 일반인들은 그렇게 생각한다고. 스승님을 만나면 알게 될 것이라고.

비행기 납치 이유, 범인이 어떻게 밀실인 화장실에서 살인했는지 그 이유를 찾는 재미는 이 소설에서는 분명히 있다. 그리고 달이라는 것을 보며 생각하지 못했던 판타지도 있어 책이 술술 읽힌다. 그렇지만, 아쉬운 것은 그는 엄청난 카리스마를 가졌지만, 독자에게는 그의 카리스마가 전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어떤 말이든 행동이든 그 카리스마의 이유를 알기를 바랐기 때문일까, 책을 덮고 나서는 왠지 모를 아쉬움이 조금 남았다. 그리고 아무리 자기 뜻을 이룰 길이 그 길밖에 없다고는 하지만 말도 못하는 아주 어린 아이들을 희생양으로 삼았다는 것도, 그렇게 아픔을 겪고 착한(?) 서민이 했다는 것이 너무 잔인하게 느껴져서 씁쓸했다. 이 글을 읽고 난 사람들이 자기 뜻을 이루기 위해서는 약간의 반사회적인 행동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할까 봐 걱정도 되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