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끝 여자친구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고 이 친구는 더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lonely`라는 게 무엇인지는 알고 있지만, 다만 한국어로 어떻게 말하는 것인지 알지 못해서. 하지만 그게 무슨 상관이겠는가. 그게 무슨 상관이겠는가. 나는 가만히 우리가 흔히 볼 수 없는 숲과 잠에서 깬 아이와 사원의 기둥처럼 늠름한 다리를 가진 코끼리를 바라보고 있다가 혼자 중얼거린다. 저는 외롭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저는 고독합니다. 그것도 아니라면 저는 쓸쓸합니다. 그것도 아니라면 마치 눈이 내리는 밤에 젖지 않는 개와 마찬가지로 저는…… <모두에게 복된 새해 - 레이먼드 카버에게>-140~141쪽

"배를 타고 대양을 건너 우리는 하늘을 봤고 우리는 별을 봤고 우리는 바다를 봤지. 하지만 결국에 우리가 보게 되는 건 자신이지. 아무리 멀리 가더라도 너는 너만을 이해했을 뿐이야. 음식을 맛볼 때, 너는 차이를 맛보는 거지, 그 미각을 맛보는 게 아닐 수도 있어. 재클린만 해도" <웃는 듯 우는 듯, 알렉스, 알렉스>-225~226쪽

"그럼 할 말은 여기서 할게. 알래스카 코르도바에 마리 스미스라는 에야크 인디언이 살아. 이 지구상에서 에야크어를 사용하는 마지막 인간이야. 사람들이 그 소감을 묻자 할머니는 이렇게 말했대. `그게 왜 나인지, 그리고 왜 내가 그런 사람이 된 건지 나는 몰라요. 분명한 건 마음이 아프다는 거죠. 정말 마음이 아파요.` 듣는 사람이 없으면 말하는 사람도 없어. 세계는 침묵이야. 암흑이고." <달로 간 코미디언>-24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푸트니크의 연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이정환 옮김 / 자유문학사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그때 이해할 수 있었어요. 우리는 멋진 여행의 동반자이지만 결국 각자의 궤도를 그리는 고독한 금속 덩어리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그것은 멀리서 보면 유성처럼 아름답지만 실제로는 각자 그 틀 안에 갇힌 채 그 어디로도 갈 수 없는 죄인같은 존재에 지나지 않는 거예요. 두 개의 위성이 그려 내는 궤도가 우연히 겹쳐질 때 우리는 이렇게 얼굴을 마주볼 수 있죠. 또는 마음을 합칠 수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그건 잠깐, 다음 순간에는 다시 절대적인 고독의 틀 안에 갇히게 되는 거예요. 언젠가 완전히 연소되어 제로가 될 때까지 말이에요."-1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나도 이따금 거짓말을 한다.
마지막으로 거짓말을 했던 건 작년이다.
거짓말을 하는 건 몹시 불쾌한 일이다. 거짓말과 침묵은 현대의 인간 사회에 만연해 있는 거대한 두 가지 죄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는 자주 거짓말을 하고, 자주 입을 다물어버린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1년 내내 쉴 새 없이 지껄여대면서 그것도 진실만 말한다면, 진실의 가치는 없어져버릴지도 모른다.-12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2
사와키 고타로 지음, 이혁재 옮김 / 재인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아무것도 불편한 것은 없어요. 나는 텔레비전도 필요 없고, 새로 나온 책도 필요 없기 때문이지요. 그저 옛날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으면 그것으로 충분하지."-21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뮤지코필리아 - 뇌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
올리버 색스 지음, 장호연 옮김, 김종성 감수 / 알마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그런데 이렇게 의미나 해석을 줄기차게 구하려는 경향은 왜 생기는 걸까? 어떤 예술도 의미나 해석을 위해 존재하지 않으며, 특히 음악은 더더욱 그렇다. 음악은 감정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예술이면서 전적으로 추상적인 성격을 띠므로 무엇인가를 재현하는 힘이 전혀 없다. 우리는 연극을 보며 질투, 배신, 복수, 사랑을 배울 수 있지만 음악, 특히 기악 음악은 이런 것을 우리에게 말해주지 않는다. 음악에는 놀라운 형식미, 거의 수학에 가까운 완벽한 형식미가 있으며, 가슴을 저미는 부드러움과 통렬함, 아름다움을 선사한다(물론 바흐는 이런 것들을 능수능란하게 뒤섞은 대가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꼭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음악을 회상하며 상상력(또는 심지어 환청)을 발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것으로 음악의 이유는 충분하다. 또는 로돌포 이나스Rodolfo Llinás가 말했듯이 이유가 전혀 없어도 상관없다.-67쪽

마이클은 한시도 음악에서 풀려나 쉬어본 적이 없다. 그의 어머니는 이렇게 강조한다. "그 애는 고요한 석양의 아름다움을 즐기거나 말없이 숲 속을 걷거나 완벽한 정적 속에 파묻혀 책을 읽고 생각을 해본 적이 한 번도 없답니다."-1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