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평전이란 무엇인가
어제 날짜 교수신문에 게재됐던 글이다. '평전에서의 비평정신'에 대한 곽차섭 교수의 글로서 제목은 '너와 나 사이의 인간적 공감'. <마키아벨리 평전>을 옮긴 경험에서 나온 통찰을 담고 있어서 음미해볼 만하다(문학비평쪽으로 자리를 옮기면 제네바학파의 '공감의 비평'을 자연스레 떠올리게 한다). 평전 장르를 좋아하는 편이지만 요즘 출간되는 '두툼한' 평전들을 다 챙겨볼 수 없다는 게 유감스럽다. '휴식' 같은 책들일 텐데...
교수신문(06. 07. 04) 평전에서의 비평정신에 대한 글을 써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아직 내가 쓴 평전 저작을 가지고 있지도 못한데 이런 원고 청탁은 부담이 된다. 아마 몇 년 전 리돌피 작(作) 마키아벨리 전기를 <마키아벨리 평전>이란 제목으로 옮겼던 일이 이런 식으로 되돌아오는가 보다. 우선은 내가 왜 리돌피의 책에다 하필 ‘평전’이란 이름을 붙이게 되었는지, 그것부터 해명해야 될 것 같다.
-그런데 이 글을 쓰면서 알라딘이나 예스24와 같은 대표적인 인터넷 서점에서 ‘평전’이란 단어로 검색해보니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평전들이 간행되고 있었다. 그 중 몇 종류는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었다. 한국의 평전 베스트셀러 상위권은 체 게바라, 전태일, 등소평, 마르크스, 여운형 등 주로 정치적 인물이 차지하고 있다. 이 나라에서 정치가 갖는 헤게모니가 어느 정도인지를 말해주는 것이리라 (거꾸로 이는 사상적·문화적 측면에서 전기를 쓰기가 훨씬 더 어렵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그런데 ‘평전(評傳)’이란 말은 어디에서 왔을까? 아마도 그것은 근대 일본에서 유래한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데, ‘비평적 전기’란 뜻일 게다. 알다시피 전기에 해당하는 ‘전(傳)’은 동아시아권에서도 오랜 연원을 가지는 글쓰기의 한 형식이었다. 사마천의 <사기>의 ‘열전’이 효시다. 문학에서도 이 형식을 빌렸다. '전우치 전' 같은 작품이 그것이다. 요컨대 동아시아 역사와 문학에서 ‘전(傳)’이란 어떤 특정 주제, 특히 인물에 대한 독특한 글쓰기 형식을 의미했던 것이다. 이것은 서양도 다를 바 없다. 고대 수에토니우스의 '12황제 전'이나 중세 초 이를 모방한 아인하르트의 '샤를마뉴 전'이 그렇고, 중세 내내 넘쳐났던 수많은 ‘성인전’들도 일종의 속류 전기들이다.
-오랜 연원을 가진 ‘전’란 말을 두고 굳이 ‘평전’이란 이름을 붙인 데는 역시 객관성, 비판성, 대상과 글쓴이 간의 비평적 거리 같은 것을 중시한 근대정신이 작용했을 것이다. 비평적 거리라는 점에서 그래도 전기가 자서전보다는 나을 게 아닌가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자서전을 두고 검증할 수 없는 자의성의 소산이라고만 보는 것은 얕은 발상이다. 자서전에는 실증적 측면과 자기 성찰적 측면이 함께 담겨 있는데, 전자는 검증 대상이 되지만 후자는 해석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카사노바나 첼리니의 자서전은 그 자체가 일종의 문학 작품이며,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은 말 그대로 자기 회심의 과정이 그리스적 합리주의를 매개로 역사와 종교적 비전 속에 버무려져 있다.
-평전에서 글쓴이는 그 대상이 되는 인물의 삶과 어느 정도로 거리를 두어야 할까? 이는 답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이며 사람마다 다른 답이 나올 개연성이 높다. 나의 생각은 이렇다. 어쩌면 모든 역사 글쓰기가 그렇기는 하겠지만, 평전만큼 사실과 해석 간의 균형의식이 절실히 요구되는 분야도 없다는 것이다. 연구 대상이 다름 아닌 인물이다 보니 글쓰는 이는 어느 덧 그/그녀와 자신을 동일시하게 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특히 저자는 대상 인물에 호의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더욱 거리두기가 어렵게 된다. 자칫하면 ‘성인전’을 쓰게 될 위험성이 높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그 거리가 너무 멀면 대상 인물과의 공감도가 떨어져 생생한 삶의 궤적이 잘 잡히지 않는다. 하지만 그 거리가 어느 정도가 되어야 하는지 이론화 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보자. 리돌피의 <마키아벨리 평전>은 비평가들로부터 마키아벨리에 관한 최고의 전기라는 평을 받아 왔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무엇보다도 사실적 측면에서 가장 정확하고 풍부하다는 것이다. 리돌피는 마키아벨리의 아버지 베르나르도가 남긴 '비망록'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중요 기록들을 이용하는 행운을 누렸고, 또 이를 대단히 조심스럽게 다루었기 때문에, 마키아벨리의 행적과 저작을 둘러싼 각종 논쟁들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그의 전기 이후 새롭게 발견된 주요 문서는 거의 없다.
-둘째 이유는 그의 문학적 필치에 있다. 그는 마키아벨리의 복잡다단한 삶을 역사적 사실에 입각하면서도 부드럽고 유연한 문체로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서 그는 마키아벨 리가 ‘시인의 정신’을 가지고 있다고 평하였다. 정치라는 냉혹한 현실을 ‘과학적으로’ 관찰하면서도 동시에 언제나 그것을 예술가와 시인의 즉흥성과 이상 속에 녹여내는 묘한 성품의 소유자가 바로 마키아벨리라는 것이다. 이는 평전의 문학성이 곧 대상 인물의 해석과 긴밀히 얽혀 있다는 증좌이다. ‘검증 가능했던’ 사실은 어느 사이에 ‘공감적’ 해석 속에 융합되어 버린 것이다.
-대상에 대한 이러한 공감적 융합은 리돌피가 마키아벨리에 대해 품었던 애정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리돌피의 저작에서 문제가 될 소지가 있으면서도 동시에 그만의 독특성을 부여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나는 그의 평전이 사랑받는 보이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비평가들 중에서는 마키아벨리에 대한 리돌피의 애정이 전기 작가로서는 좀 과도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없지는 않다. 하지만 쓰고자 하는 인물이 ‘표본실의 청개구리’가 아닌 다음에야 그에 대한 인간적 애정 없이, 어떻게 그의 삶과 사상과 고뇌를 이해하고 공감하고 나아가서는 그것을 글로 재현할 수 있겠는가?
-누군가가 나에게 평전에서 대상 인물과 어느 정도로 거리를 두어야 하는가 라고 묻는다면, 나는 주저하지 않고 그에게 인간적 애정, 적어도 인간적 공감을 느끼지 못한다면 평전을 쓰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대답하겠다. 이러한 애정과 공감이 사실을 훼손하지 않는다는 전제는 굳이 확인할 필요가 없다. 평전은 사실들 간의 인과관계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의 요체는 너와 나 사이의 인간적 공감이다. 따라서 나는 사실과 해석 간의 균형의식도 산술적 중간이 아니라 공감적 융합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는다(*공감의 비평과 관련하여 떠오르는 이는 김현이다. '수정의 메아리'라고 그는 불렀던가?).
06. 07. 05.
P.S. 평전은 올해도 수없이 출간되었다. 가장 최근에 나온 평전으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마리안느 레스쿠레의 <레비나스 평전>(살림, 2006). 올해가 레비나스 탄생 100주년을 맞는 해여서 뜻깊다(적당히 제쳐놓은 관심에 다시 불을 당기는군!). 그리고 마키아벨리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고자 하는 또다른 평전으로 마이클 화이트의 <평전 마키아벨리>(이룸, 2006)도 올해 나온 책이다. 두 권의 루쉰(노신) 평전과 <민촌 이기영 평전>(심지, 2006)까지 더해도 평전의 트렌드는 다 따라잡을 수 없다. 참고로, 현재 가장 많이 팔린 평전은 여전히 <체 게바라 평전>(실천문학사, 200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