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 선사 시대 ~ 남북국 시대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최태성 지음, 신진호 그림 / 다산어린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①

선사 시대_남북국 시대


아이가 학교에서 사회 시간에 역사에 대해 배우면서

역사 공부가 어렵다고 느끼더니

역사 공부를 왜? 해야 하냐고 물어보기 시작했답니다.

사회 시간이면 사회를 배워야지

역사 시간도 아닌데 사회 시간에 왜.. 굳이..

역사를 배우는지 모르겠다고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흠~ 생각해 보면 역사.. 저도 좀 어려워했던 거 같답니다.

또한

제가 배울 때는 역사를 왜.. 배워야 하는지 모른 체

학교에서 시험을 보니깐 역사 공부를 했던 기억이 나요.

라테는 말이야.. ㅋㅋ

그때는 몰라서 그렇게 공부만 했지만

지금의 저희 아이는 배워야 할 이유를 궁금해하고

그 이유를 찾으며 아이가 학습을 하더라고요.

이런 아이를 위해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초등 도서 한 권을 선물해 줬답니다.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는

우리가 왜? 역사를 공부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차근차근 알려주며

재미있게 한국사를 접할 수 있는 한국사도서랍니다.


지나간 일을 굳이 배워야 할까요?

이런 질문에 우리 아이는 어떤 답을 할까요?

저희 아이는... 지나간 일을 배워서 뭐 하게?라며

도리어 질문은 던진답니다.

역사 속 사건은 우리와 너무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살짝 변형되어 현제이도 쭉 이어지고 있답니다.

역사는 과거의 사실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를 통해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을 만났고

역사 속 위기를 통해 그것을 극복해 나갔답니다.

어떻게 보면

역사 속 인물들은 참 대단한 거 같아요.

누가 알려주지도 않았는데, 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스스로 구하고, 만들고, 개척해 나갔으니 말이에요.

지금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궁금한 모든 것들을 인터넷 속에서 찾을 수 있답니다.

한자로 사람인(人) 자는

사람이나 인간의 뜻을 가진 한자로

두 사람이 서로 기대어 있는 모습을 니타 낸 상형문자이다.

역사는 서로 의지하며 발전한 시간을 의미한답니다.

지금도 우리는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고 있답니다.

더불어 사는 사회 속에서 말이지요. ^^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법을 터득하고

자연이 주는 것을 받아들이며 살아간

첫 번째 시대인 구석기 시대가 지나고

자연을 이용해 식량을 생산하면서

농사를 짓기 시작한 신석기 시대가 온답니다.

무리도 생기고 결혼을 통해 공동체 부족을 만들어 나갔답니다.


역사를 배우다 보면 안타깝고, 냉정한 부분이 있답니다.

동맹이었던 신라가 백제를 배신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답니다.

하지만, 각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안타까움은 다르게 표현이 된답니다.

배신을 당한 백제의 입장에서는

진흥왕은 의리 없고 뻔뻔한 사람이지만,

신라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면

나라를 전성기로 이끈 위대한 왕이 된답니다.

역사는 때로 냉정하고 과감한 선택이 필요하답니다.

아이가 신라와 백제의 이야기를 읽고

지금 현시점에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지금 전쟁을 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도

냉정하고 과감한 선택을 했기에 전쟁이란 걸 하는 거지?

그렇다면

그 두 나라의 입장에서도 서로가

백제와 신라처럼 생각하게 되는 거지?라며

여러 가지 이야기와 궁금증을 쏟아내기도 한답니다.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를 통해

역사에 대한 호기심을 키우고

역사를 제대로 배워나가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