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한창훈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한창훈이 첫 작품을 상재할 때부터 그가 이문구 선생의 직손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소설이 아닌 이 책을 읽고 나니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구수하고 텁텁한 입말은 이문구의 것인데
예의 의뭉스럽게 슬슬 꼬아 길고 긴 복문 대신 드라이한 단문 위주의 문장은 되레 요즘 사람이다.
그럼에도 그가 이문구 선생과 같은 길에 있다는 것은 동류의 곡진하고 웅승그레한 시선과
감성때문이다. 어류 박물지에 달큰하고 속 깊은 사연이 만나니 절로 흥겹다.
게다가 툭툭 무렴없이 던지는 담백한 단문의 재미가 아주 달고 찰지다.
내륙 출신인 나에게 바다 생물들이란 백과사전이나 내셔널 지오그래피에나 나오는 것들이고
먹었다고 해봐야 다들 먹어 본 그 나물에 그 밥이다.
물론 살아 온 세월이 있으니 이것 저것 걸터듬어 먹어보기야 했지만
그 속사정을 알고 먹은 게 얼마나 되겠는가.
그런 연유로 이 책은 나 같은 미생에겐
아주 긴요한 가이드북이자. 萬漁譜이고 그 어류들에 얽힌 萬人譜였다
한번도 못 먹어봤다는 말은 한번도 못 가봤다는 말보다 더 불쌍하다 p78
객쩍은 소리 한마디 보태자면 근래 맛집이고 여행이고 그 비슷한 것들을 담아
저자거리에 도는 책들을 들추어보면 매냥 '중2병'에 걸려서 하냥 개갈안나는 소리만
주야장천 왜장을 치는 책들이 태반이다.
(자기 인생도 제대로 간추리지 못한 것들이 이국 땅에서 뭔 깨달음을 얻었다고
멀쩡히 잘 살고 있는 이들에게 훈계에 선생질에 흰소리를 해대는지 보다 보면 기도 안찬다.)
그것도 아니면 기본적인 글쓰기 훈련도 안받은 저자와 교정도 안보는 편집자 둘이
짝짜꿍을 지어 생쇼를 벌이는 허접쓰레기와 블로그에나 올라 갈 사진만 예쁜 팬시류 책들이
또 그 반인 이 풍진 세상에 한창훈의 이 책은 알곡이다. 공들인 편집도 그 짝을 만나 더 좋다.
며칠 자료 조사 때문에 피 뚝뚝 떨어지는 기사와 사진, 영상들만 들여다 보다가
눈호강했다. 이젠 이 책을 들고 입호강하러 가야겠다. 주말이니까.
'세 식구 머리 맞대고 꼬리뼈까지 쭉쭉 빨아먹는 맛'(p297)이라는
우럭이나 한 '사라'하자. 소주 일병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