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산을 넘고 싶다 한젬마의 한반도 미술 창고 뒤지기 1
한젬마 지음 / 샘터사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문득 떠난 여행길에서 미술관을 만나면 반가운 생각이 든다. 계획하지 않았던 미술관 관람은 여유로운 일상의 감각을, 한껏 풍요로워진 감정을 만들어준다. 가끔씩 미술관을 중심으로 여행을 계획해보면 근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곤 했었다. 그래서 이 책을 만나고 무척 반갑다는 생각부터 들었는지 모르겠다. 바쁜 일상에 치이느라 떠나지 못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멋진 미술관 기행서이기도 하니까 말이다. 물론 이 책은 미술관 중심은 아니다.

<화가의 집을 찾아서>에 이어지는 이 책은 전라도와 제주도를 중심으로 화가들의 생가를 따라 그 화가가 남긴 흔적들을 만나고 있다. 그 속에 미술관이 포함되어 있다. 화가의 삶을 공간적으로 훑어보는 이 기행은 화가의 삶에서부터 작품까지 아우르고 있다. 멋진 기획이다. 언젠가 한번은 시도해보고 싶은 여행을 이렇게 책으로 먼저 만날 수 있다니, 반가운 마음이 앞선다.

“생가는 그 작가에 대한 보다 원론적이고 본질적인 사색의 시간을 제공한다.”고 한젬마가 말하는 것처럼, 화가들이 머문 집에서 우리는 미술관에서는 느낄 수 없는 감상을, 고요한 사색의 시간을 제공받는 것이다. 그들의 생각과 시간이 머문 곳에서 그들의 삶을, 작품을 떠올려본다는 것은 운치 있다는 표현만으로는 무언가 부족한, 감상의 폭을 넓혀주는 시간인 것이다.

김환기 생가에서는 그의 그림들 속에 드러난 고향의 이미지에 대해, 처연하고 스산한 느낌의 윤두서 고택에서는 쓸쓸하고 고독했던 화가의 삶에 대해 사색할 수 있고 허련이 말년에 고향땅 진도에서 정착한 곳, 운림산방에서는 완숙의 경지에 이르렀던 예술가의 예술혼에 대해, 그리고 제주의 바다에서는 추사 김정희가 느꼈을, 유배생활에 대한 막막한 절망에 대해 감정이입을 할 수 있다.

가끔씩 한젬마의 일상이 불쑥 튀어나와서 당황스럽긴 하지만, 성급한 준비로 어긋난 계획들이나 여행 중의 사소하면서도 자잘한 일들은 같이 화가의 발자취를 둘러보는 것 같은 소소한 재미를 안겨준다. 한젬마는 자신의 개인적인 이야기, 서양화가들과의 비교 등 이런저런 이야기들 속에서 화가의 흔적들을, 차근차근 밟아나가고 그 속에서 그들의 삶을 바라보고 있다. 한젬마의 이런저런 이야기들은 지루할 수도 있는 여행의 분위기를 즐겁게 바꾸어주기도 하고 미처 알지 못했던 화가들을 편안하게 만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책을 읽으면서 화가의 집은 화가가 머물렀던 장소 이상의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의 시간이 담겨 있는 그 곳은 그들의 작품 속에 다양한 빛깔들로 섬세하게 스며들어 있을 것이다. 그 섬세한 흔적들을 찾아가는 여행을 한젬마의 이야기를 통해 들으면서, 내가 알고 있는 화가들 그리고 미처 알지 못했던 화가들의 삶 속으로, 그리고 그들의 작품 속으로 천천히 빠져볼 수 있었다.

화가의 집을 찾아 떠나는 여행이 얼마나 고요한 사색의 시간을 제공해주는지를, 그것이 미술관에서의 그림 감상과 어떻게 다른지를, 그리하여 언젠가 무작정 그들의 자취를 따라 떠나고 싶은 충동을 느끼도록 해준 건 이 책이 주는 가장 큰 매력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