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를리외르 아저씨 쪽빛그림책 2
이세 히데코 지음, 김정화 옮김, 백순덕 감수 / 청어람미디어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따뜻했다. 책 한 권이 어떻게 새롭게 만들어지는지 따라가며, 어느새 마지막 장에 이르렀을 때 마음이 참 따뜻해졌다. 낡은 책이 다시 태어나는 그 따뜻한 순간들을 천천히 감상했다. 오래되어 낡고 책장이 떨어진 책 한 권이 아주 멋지고 특별한 책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과정도 아름다웠지만, 어린 소녀와 를리외르 아저씨와의 우정어린 만남도 참 아름다웠다.

프랑스어로 제본을 뜻하는 를리외르. 오래되어 보수가 필요한 책을 다시 꿰매고 표지까지 꾸며주는 일을 뜻한다. 자신의 소중한 도감이 낱장이 떨어져 나가자 소녀는 를리외르를 찾아가게 된다. 책에 대한 사랑이 그들을 자연스레 연결시켜준다. 아저씨는 책을 너무 좋아해서 낱장이 다 뜯어지도록 본 소녀의 마음을 알아차린 것 같고, 소녀는 아저씨가 책을 다시 멋지게 고쳐 주리라는 것을 믿는 것 같다. 이제 책의 멋진 변신이 시작될 차례. 를리외르 아저씨는 낱낱이 책을 뜯어내고, 가장자리를 자르고 실로 꿰매며 책을 정성스레 손보기 시작한다.

낡은 책이 다시 튼튼한 책으로 변신하는 섬세한 작업들이 그림책 속에 잘 표현되어 있다. 오직 손으로만 할 수 있는 정밀한 작업들. 아저씨 손이 꼭 나무옹이 같다는 소녀의 말에 를리외르 아저씨는 를리외르의 일은 모조리 손으로 하기 때문이라고 말해준다. 실의 당김도, 가죽의 부드러움도, 종이 습도도, 재료 선택도 모두 손으로 기억해야 한다고. 그 섬세한 손을 통해 책이 다시 만들어지고 귀중한 지식과 소중한 이야기들이 오랜 시간을 거쳐 전해진다고. 60가지도 넘는 공정을 거쳐, 마지막에 책등 가죽에 금박으로 제목을 넣는 일까지 마치게 되면 를리외르의 작업은 끝나게 된다.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책제목과 자신이 좋아하는 그림으로 만든 표지. 낱장이 다 뜯어져 보기 힘들었던 책이 그렇게 자신만의 책으로 다시 태어난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그 행복한 마음과 책을 정성스럽게 매만지는 를리외르의 열정이 아름다운 수채화 속에 담겨져 있다. 여행 도중 우연히 를리외르를 만나 수작업 과정들을 스케치하고 싶어서 몇 번이나 파리의 뒷골목 공방을 찾았다는 작가의 말을 읽고 보니, 지금도 파리의 뒷골목에서 나무옹이 같은 손으로 낡은 책을 부지런히 매만지고 있을 백발의 노인을 상상하게 된다. 지금도 그 곳에선 낡은 책이 새로운 생명으로 멋지게 태어나고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