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이런 관용어가 생겼대요 - 읽다 보면 문해력이 저절로 그래서 이런 OO이 생겼대요 시리즈
우리누리 지음, 송진욱 그림 / 길벗스쿨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 생활에서 관용어가 쓰이는 곳은 참 많다. 초등학교 고학년 교과서에도 관용어에 대해 배우는 단원이 나온다. 그런데 생각보다 아이들이 관용어의 뜻을 잘 모르고 어려워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

관용어는 문장 그대로의 뜻으로 이해하려면 이해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관용어는 원래의 뜻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뜻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어려서부터 관용어를 접하고 익히고 생활에서 많이 써봐야 관용어가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관용어를 어려워 하는 아이들, 관용어를 익히고자 하는 초등학생들에게 유익한 책이다. 이 책은 초등 국어 교과서와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핵심 관용어들을 가려서 소개하고 있다고 한다.

최근 문해력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많은 관용어를 익히고 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문해력에 대한 책을 내신 서울대 최나야 교수님도 추천하셨고 초등학생들의 생활에 관한 책을 많이 내신 이은경 선생님의 추천책이라서 더욱 믿음이 간다.

이 책은 크게 5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장과 2장은 관용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신체 부분에 대한 관용어를 소개하고, 3~5장은 음식, 물건, 자연에 빗댄 관용어를 소개하고 있다.

제 1장 얼굴에 빗댄 관용어 중 '낯을 가리다' 부분이다. 나는 이 문장이 관용어인줄은 몰랐다. 너무나 당연하게 쓰고 있는 말이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먼저 산이와 솔이가 등장하는 4컷 만화를 도입하여 해당 관용어가 쓰이는 상황을 표현한다. 이 부분에서 '이런 때 이런 관용어가 쓰이는 구나'하는 것을 안다.

만화 아래에는 관용어와 비슷한 낱말이나 비슷한 관용표현을 제시하고 예문도 나와 있다. 그리고 오른쪽 페이지에서는 또 다른 예시 이야기를 들어서 한 번 더 관용어가 쓰이게 된 유래를 설명해준다. 한 번도 아니고 두 번이나 설명을 하다 보니 더 이해가 쉬운 것 같다.

아이와 함께 읽는 그림책이나 만화 영화에서 '무릎을 꿇다'라는 표현이 종종 나왔는데 왜 저런 상황에서 '무릎을 꿇다'라고 하는 지 계속 물어보곤 했다. 그림책이나 만화에서는 진짜 무릎을 꿇는게 아니니 이해가 안 될 수 밖에 없다. 아이가 더 크다보면 이런 표현들을 더 많이 접하게 될 것이고 무슨 뜻인지 질문을 많이 할 것 같다. 그냥 '이런 뜻이야'라고 설명해주는 것보다는 실생활의 예를 많이 들어 설명해 주는 게 이해가 쉽고 빠를 것 같다. 이 말이 어떻게 이렇게 쓰이게 되었는지 유래도 알고 실생활의 예를 많이 접하면 어휘력과 문해력이 잘 길러질 것 같다.

초등학생들에게 특히 추천하지만 어른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어른들도 관용어의 의미를 어설프게 알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아이들이 언제 어디서나 관용어를 술술 잘 쓰게 되었으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