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랏빛 소가 온다 - 광고는 죽었다
세스 고딘 지음, 이주형 외 옮김 / 재인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Remarkable, 아이디어바이러스, 스니저, 얼리 어댑터....

이 책을 읽고 난 뒤에 귀에 맴도는 단어들이다.

마케팅에 관한 통찰력을 한껏 발휘한 책이다.

세스 고딘은 광고는 죽었다고 과감하게 말한다.

생각해보니 맞는 말이다.

어느 소비자도 광고를 보고 상품을 사는 경우는 드물 만큼

광고는 홍수로 넘쳐나게 되었다.

즉, 광고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을 이미 한물 갔다는 것이다.

내가 광고를 상품구매의 수단으로 보지 않고, 그저 광고로만

보는 것을 보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상품을 구매한다는 것인가?

정보의 급격한 확산으로 인해 소비자는 이제 더이상

예전의 소비자가 아니다. 따져볼것 다 따져보고, 물어보고,

아주 신중하게 구매한다는 것이다. 그 틈새를 노리는 방법에

대해서 필자는 시스테믹하게 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교에 '옥수수 한 자루'에 얼마씩 하는 상품을 팔려 한다면,

새로운 물건에 항상 호기심을 가지고 일단 구해하고픈 욕구를

가진 얼리 어댑터가 있다.(물론 소수다)

그리고 얼리 어댑터의 입소문이나 맛에 대한 평가를 듣고

신중하게 구매를 하는 다수의 이용자가 있다.

마지막으로 옥수수를 다 판 다음에 모두들 맛있다고 하니까

그제서야 사려고 하다 보니 이미 철이 지나버러 옥수수 생산이

되지 않아, 그냥 깡통에 들어 있는 콘을 사는 지각 수용자가 있다.

 

상품의 판매는 광고를 통한 마케팅보다는, 적극적인 구매욕구를

가진 소수, 즉 얼리 어댑터를 노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런 얼리 어댑터 중에서도 스니저를 찾아야 효과를 본다.

스니저는 아이디어 바이러스(퍼져나가는 아이디어)의 핵심

유포자이다. 즉 옥수수를 먹어보고 그 품질에 대해 말하고 싶어

안달난 사람의 부류이다. 결국 마케팅은 스니저를 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스니저들은 쉽게 유혹되질 않는다.

이들을 매니아로 만들려면, 아이디어가 리마커블해야 한다.

이것은 상품이 아주 좋아야 한다는 말을 뜻하지는 않는다.

얘기할만한 가치가 있고, 변혁적이며, 신선해서

주목받게 된다는 것이다. 아마도 낯설음과 관계있는 듯 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 과거를 되짚어 보았다.

난 창의적인 걸 좋아하는 편이다. 아마도 학창시절부터

그랬던 것 같다. 그래서 자동차공학도가 되고 싶었다.

그런데 지금의 내 위치는 ....현실에 안주하며 그럭저럭 만족하며 살고 있다.

왜...그때....왜.........재도전하지 않았을까?

왜 그 Œ고 어린 나이에 현실에 굴복했을까?

아마도 다시 도전을 했다면, 지금 이 책의 내용은 뼈에 사무치도록 다가왔을 것이다.....

 

그래도 세스 고딘의 아이디어는 정말 리마커블하다.

이 책을 판매하는 것에 있어서도 리마커블한 아이디어로

판매량을 늘렸으니 말이다...즉 자신의 이론을 바로 입증한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