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의 인문학 - 도시남녀의 괜찮은 삶을 위한 책 처방전
밥장 지음 / 앨리스 / 2013년 6월
평점 :
아주 피곤할 때가 있다. 내 삶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모를 때, 지구 자전하는 소리가 너무 시끄러울 때, 내 안의 일곱난쟁이가 자고 있는 나를 깨우지 않으려 조심할 때. 그럴 땐 물구나무를 서서 지구를 2바퀴 반 돈 것 같은 피곤함이 몰려든다. 그러면 이 피곤함을 삭제하기 위해 어떤 딜레트 키를 눌러야할까. 혹시 내 자판에는 딜레트 키가 없는 건 아닐까.
이럴 땐 인간을 믿어 본다. 타인을 믿어 보는 거다. 그리고 인간을 믿는 최적의 방법은 인문학 책을 읽는 것이다. 어려운 책도 좋고 쉬운 책도 좋다. 피곤한 눈을 돌렸을 때 왠지 눈에 들어오는 책을 고르면 된다. 내 몸이 그 책을 원하고 있다는 은연중의 신호다.
그렇게 해서 읽게 된 책이 [밤의 인문학]이다.
이 책은 일러스트레이터인 저자가 신촌의 ‘더빠’라는 술집에서 저자가 읽은 책 소개도 하고 손님들의 얘기도 들으면서 삶을 나누었던‘수요밥장무대’를 글과 그림으로 옮긴 것이다. 첫 번째 밤의 ‘맥주’로 시작하여 열여섯 번째 밤인 ‘기괴함과 창조성’까지, 다양한 주제로 편하게 이야기를 들려 준다.
정말 ‘편하다’는 것이 이 책의 커다란 장점이다. 군더더기 없이 자신의 생각을 부담 없이 종이에 담아낸다. 꾸미지않음이 독자를 어떻게 편하게 하는지 알게 된다. 피곤하고 지친 마음이 겨우내 처마에 매달린 고드름이 초봄 햇빛을 받고 한 방울씩 녹아내리듯 조금씩 조금씩 풀어진다. 심도 깊은 인문학전 사색이라기보다는 에세이에 가까운 삶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길지 않은 글들이다.
저명한 철학자들의 말을 인용하고 어려운 단어들로 풀어내는 인문학도 필요하지만 가끔은, 가끔은 편안하게 글자를 눈으로 쫓는 것만으로도 내 마음에 보탬이 된다면 그것만큼 좋은 처방이 어디 있겠는가. 이 책의 부제는 “도시남녀의 괜찮은 삶을 위한 책 처방전”이다. 챕터마다 조금씩 인용하고 있는 책들이 소개되니 독서의 가지치기를 해도 좋겠다.
내가 아무리 피곤해도 지구는 돈다. 그렇다면, 지구를 멈추려고 애쓰지 말고 그냥, 왠지, 이유 없이 눈에 들어오는 인문학 책을 펼치자. ‘사람을 위한 학문’아닌가. 글자들 사이로 굽이굽이 이어진 길을 두 발로 뚜벅뚜벅 걸으며 들꽃도 보고 시냇물도 보고 초가집도 보고 그러다 귀인을 만나 사랑도 하게 해 주는 것, 그것이 인문서적의 본질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