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나기 - 2004 공쿠르 단편문학상 수상작
올리비에 아당 지음, 함유선 옮김 / 샘터사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올해 겨울도 그리 추울 것 같진 않다. 항상 겨울 초입에 우두커니 서면, 내가 기다리는 매서운 추위는 올해도 오지 않을 거라는 불안으로 두리번거린다. 길에서 두리번거리는 사람을 보면 내 텅 빈 가슴이 공명하여 부르르 떤다. 그럴 때마다 까칠까칠한 손바닥으로 가슴을 세게 누른다.

올리비에 아당의 소설집 <겨울나기>는 이런 사람들이 가득하다. 나 같은 사람들이, 우리 같은 사람들이 가득하다. 막상 추위가 닥치면 얼굴이 빨갛게 되어 어쩔 줄 모르면서, 올해도 찾아오지 않을 것 같은 죽을 것 같이 매서운 추위를 기다리는 사람들. 그렇게 무서운 겨울을 나고 나면 더 이상 나를 힘들게 하는 일은 없을 것 같은 기대감이 그런 기다림을 품게 한다. 하지만 아무리 무섭도록 매서운, 죽을 것 같이 고통스러운 겨울을 나도 봄, 여름, 가을이 꿈결같이 지나고 나면 다시, 우리에게는 겨울이 찾아 온다. 당연한 것처럼. 아니 당연하게도.

아직 겨울이 오기 전에 이 책을 읽었다. 회사에 가는 버스 안에서, 두통이 지독한 머리를 차가운 바닥에 대고 누워서, 늦은 아침밥을 먹는 일요일 식탁 앞에서. 여자들과 남자들이 모두 힘겹게 한밤중의 눈 쌓인 터널 같은 겨울을 느린 걸음으로 걷고 있었다. 그들은 영원히 소설 속에서 걸어 나오지 못한 채 그렇게 계속 터벅터벅 걸을 것이 분명했다. 어디에도 입구가 없고 어디에도 출구가 보이지 않았으니까. 카프카의 소설에선 밖으로 나가려는 자는 출구를 찾지 못하고 안으로 들어오려는 자는 입구를 찾지 못한단다. 그래서 벌레가 되어 말라 죽고 물에 빠져 죽고 이유 없이 체포된다. <겨울나기>의 사람들은 그런 면에서 오히려 더 숨막힐 듯 거북하다. 그들은 카프카의 사람들처럼 극단적인 상황에 놓이지 않는다. 대신, 언제나처럼 같은 쳇바퀴를 돌리고 같은 자리를 뱅글뱅글 회전하며 터벅터벅 걷는다. 어디가 처음이고 끝이며 어디고 입구이고 출구인지 도무지 안개에 싸인 듯 희미하다.

우물 안 개구리에게는 머리 위 하늘이 전부였다. 그 한 조각의 하늘 외에 다른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하늘이 모든 것이다. 세계는 언제나 그것뿐인 것이고 변화라고는 그저 해가 떠 파란 하늘이 되었다가 해가 지고 검은 하늘이 되는 게 전부다. <겨울나기>의 사람들은 모두들 각자 그 한 조각의 하늘을 바라보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사람에게는 사람이 희망임을, 나는 한번도 의심해 본 적이 없다. 이들이 남편에게, 아내에게, 직장상사에게, 아이들에게, 모든 타인에게 느끼는 감정들이 지금은 비록 무섭도록 쓸쓸해도, 그 쓸쓸함이 결국은 타인에 대한 애정에서 오는 것임을 알기 때문이다. 일말의 감정도 없으면 아무런 번민도 하지 않을 테니까. 다 미워해서 그러는 거다. 다 사랑해서 그러는 거다. 다 속상해서 그러는 거다. 다 그리워서 그러는 거다. 그렇게 작고 소소한 감정들이 사람들의 가슴속에 둥둥 떠다니는 걸 상상하면 나는 그만 <겨울나기>의 이 숫기 없는 사람들을 몽땅 끌어안고 싶어진다.

연상의 여인을 사랑했던 소년은 이런 시를 쓰지 않았던가.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 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 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