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패밀리
마리오 푸조 지음, 캐롤 지노 완성, 하정희 옮김 / 늘봄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먼저 본 작품의 두께는 매우 두껍다. 가격도 만만치않고, 책의 두께와 가격은 독자가 작품을 접할때 맨 처음 접하는 것이기에, 가격과 두께에 나름대로 감정을 가지지 않을수 없다고 본다.
허나 The Godfather를 통해 마리오 푸조의 작품은 아무리 두터운 두께의 소설이더라도, 그 두터운 두께를 소화할 정도로의 이야기가 존재하기에, 그 이야기는 책값을 본전 뽑고도 한참 뽑기에 쉽게 본 책을 서점에서 꼽아들고는 카운터에 이르렀다.
작품에 대해 한참 모자른 내가 평을 하자면, 역시나 책의 두께에 대해 이야기를 않할수 없는데 그 두꺼운 두께에도 불구하고 이야기는 제대로 소화한다. 허나 더 중요한건, 그 두꺼운 두께에도 불구하고 작품의 스케일을 전부 소화하진 못한다는 것이다. 그만큼이나 본 작품의 스케일은 엄청나다.기존까지의 타작가의 작품에서 만족스럽지 못한다면, 보통 나는 그 작가의 평소의 실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한 느낌을 가지게 된다. 허나 패밀리를 보면서 마리오 푸조에게 느낀건, 좀 더 열심히 실력을 더 늘려서 접근하는게 어떨까 라는 생각이다. 물론 마리오 푸조가 소설가로서 나쁘다는건 아니다. 훌륭한 소설가일테지만 아쉽게도 논픽션인 본작품은 그 훌륭한 소설가의 훌륭한 능력보다 더 큰 능력을 원한다.
아마도 그렇게 느낀 이유는, 조프레에 대한 내러티브가 부족할뿐더러 (내가 생각하기에 보르지오가의 가장 중요한 캐랙터는 조프레 라 생각된다. 보르지오가의 비극의 시작과 비극을 가져다준건 알렉산드르 교황 자신도 체사레도 아닌 조프레가 아닐까?) 알렉산데르가 루크레지아와 체사레를 서로 근친하게 하도록 조작한것도 정치와 사랑, 욕망, 감정을 한데 어우르려고 한 것이겠지만 이도 저도 되버리지 못한채, 각자 캐랙터의 감정이 강하게 울릴 뿐이다. 또한 논픽션인 관계로 작가의 개입이 극히 제한된만큼 그것이 작품에 대한 부정적 요소를 크게 준 것일지도 모른다는 느낌이 강하다.
스피디한 전개, 속독성을 가진 문체와 사건을 이끌어가는 힘은 대단할지 모르나 보르지오가가 얽힌 사건에서 보르지오가에게만 시선을 주기엔 이미 그 사건은 너무나도 크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