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 중의 하나인 기아, 빈곤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작가 자신의 아들 카림과 대화하는 형식으로 읽기에 부담없이 읽을 수 있다. 아들과 대화하는 형식으로 기아의 원인, 현실 등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놓고 있다.

 사실 난 기아 현실에 대해서 잘 몰랐다. 그런데 생각했던 것 보다 현실은 심각했다. 가장 충격이었던건, '소는 배를 채우고, 사람은 굶는다?' 라는 대목이었다. 선진국에서는 고기를 너무 많이 먹거나 해서 영양과잉 질병으로 목숨을 잃는 경우가 증가한다. 반면, 가난한 나라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영양실조로 죽음에 이른다고 한다. 전세계에서 수확되는 옥수수의 1/4을 부유한 나라의 소들이 먹고있다고 한다.
 현재 전세계에는 지구상의 사람들의 두 배를 먹여살릴 수 있을 만큼의 많은양의 식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듯 많은 식량들을 어디다 쓰는가. 부유한 나라의 소들에, 맥도날드 같은 햄버거 가게의 패티에 사용되는 소들이 먹고 있지 않은가.

또한, 나는 그저 전세계적으로 많은 식량들이 넘쳐나고 있으니, 그 충분한 식량을 신속하게 배금하면 기아 문제는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대게 '경제적 기아' 의 희생자들은 뒤늦게 구호단체에 보고되는 경우가 많아, 굶주림에 너무 시달려, 신진대사가 극도로 악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냥 무작정 먹을 것을 주면 목숨을 잃는 일이 많다고 한다. 그래서 이들에게는 먼저 정맥에 영양 주사를 놓아줘야 한다고 한다.

 사실 학교에서는 기아에 대해 자세히 가르쳐주지 않는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기아의 실태, 원인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지 않나 싶다. 내게는 굉장히 마음에 와닿고 기아의 실상에 대해서 많은 걸 알아가는 것 같아, 학생들에게는 물론, 어른들에게도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자료는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에서 제가 직접 작성한 감상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