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정리 편지 (양장)
배유안 지음, 홍선주 그림 / 창비 / 2007년 5월
평점 :
엄마의 추천으로 읽은 책이다. 처음엔 별로 내키지 않았다. 그냥 편지 내용인줄 알았다. ‘초정리’의 정확한 뜻도 몰랐고, 옛날을 배경으로 한 책은 별로 좋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초정리 편지는 세종 때의 일이다.
이 채의 주인공인 장운은 누나와 아버지와 사는 가난한 아이 이다. 어느 날 윤 초시 양반께 약수를 떠 드리려고 산에 왔는데 한양에서 오신 어떤 지위 높아 보이는 할아버지(?)양반을 만났다. 그 분께서는 장운에게 한글(훈민정음)을 가르쳐 주셨다. 장운은 호기심을 가지고 글을 배우면서 그 할아버지께 글을 배우는 것은 어렵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 글을 거의 다 배우고 장운의 집에는 일이 생겼다. 약재 어른께 약값을 다 못 갚아서 장운의 누이를 남의 집살이를 하라고 멀리로 보내버렸다. 그래서 한동안 산에 할아버지를 만나러 가지 못했다. 그러던 사이, 할아버지는 한양에 올라가 버리셨다. 장운은 자신의 누이와 장운은 약값을 벌기 위해 아버지가 하시던 석수 일을 한번 해보겠다고 집에 있는 돌로 거북이를 만들어보았다. 처음치곤 꽤 괜찮았다. 그걸 보신 점밭아저씨가(점밭아저씨는 유명한 석수장이시다.)한번 일해보지 않으련?(_ㅋ)뭐…….이렇게 물으셔서 장운 이는 일하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점밭 아저씨가 한양에 중전마마의 명복을 비는 절을 짓는 곳에 몇몇 석수장일 데려 간다고 하였다. 그중에 장운도 가게 되었다. 그러다가 장운이 연꽃을 파는 알을 맡게 되었다. 그런데 어느 날 보니까 연꽃한쪽이 부러져 있는 것 이다. 장운 이는 처음엔 정말 분하고 화가 났다. 그렇지만 장운 이는 그 부러진 연꽃을 살짝 구부러진 모습을 표현했다. 그리고 어느 날 갑자기 소란스러워 졌다. 임금님께서 절 공사 상황을 보러 오신다고 하셨기 때문이다. 알고 보니 그 할아버지(장운이 에게 글을 직속으로 글을 가르쳐 주신 분)는 바로 임금님 이셨다.
이 이야기는 세종께서 한글을 창시하셨고 가난하고 어려운 환경에 불구하고도 꿈을 잃지 않는 소년의 마음을 잘 나타 낸 것 같다.
난 이 책을 읽고 느낀 점이 있다면…….늘 꿈을 잃지 말고 어려운 상황일수록 꿈을 헤쳐 나가자? 뭐, 이런 것 같다.
이 책은 창비 출판사 제10회 '좋은 어린이 책' 창작 부분 대상 수상작 이라고 한다.
모두들 꼭 읽어 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