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와 열정>

의식은 모든 것을 이야기로 파악 / 사실보다 의미나 의의

자동차 스키마가 새로운 차를 몰 수 있게 함

무지몽매한 초반 세심한 계획 짜는 건 무리 ☞ 일단 시작

새로운 분야 배울 때 그 분야 전문 용어 습득

빈틈 메워가며 순환 학습

나는 기압의 단위인 헥토파스칼과 밀리바의 차이에 대해 아직 몰라

못 견디게 하고 싶은 게임 찾기

단순 기억보다는 아이디어와 관계 맺기

공감 + 비판

 

<단단한 공부>

세부사실 잊어도 문제 분석/해결 능력은 남아

단어보다 주제 집중해야 독서속도 빨라

단락은 주장의 구성 단위

방대한 분량 읽을 땐 요약본 참고도서 활용

일단 쓰기 시작하면 단숨에 써내려가라

외국어로 생각하는 연습

듣기가 외국어 공부 첫걸음

해석하지 말고 읽으며 그대로 이해하는 연습

텍스트를 가능한 한 복습하기 쉽도록 나누고 요약

관점을 바꾸어 복습

상상력을 동원하여 주제에 흥미를 느끼도록

 

<몰입 두 번째 이야기>

어떤 일이 일어나려면 구동력이 있어야

입 = 분산된 관심과 에너지 모아 한 곳에 집중

범위 좁을수록 몰입강도 높아져

생생하다 = 많은 시냅스 활성화

산만할 때 몰입하려면 피드백 빠르게

반복하면 장기기억 된다

낮엔 논리회로 밤엔 감정회로 (장기기억 활성화)

전반부 수면에 창의성 개발 장기기억 형성

계속 깨어있는 것보다는 잠깐 눈붙이면 장기기억에 도움

몰입이 절정에 가까워지면 자료검색X 메모X

'어떻게?'는 발산적 사고 '왜?'는 수렴적 사고

몰입을 부추기는 확신 / 호기심 / 분노

원하는 변화 일어날 확률 올려야

구동력 충분한데 공부 안 되면 실천 방법 바꿔야

같은 생각 반복 ☞ 습관 ☞ 성격 뇌구조 바뀜

 

<공부하는 힘>

암기보다는 이해와 사고 위주 학습 / 이유를 생각하면서 공부

감정 각성시키는 경험 자극적 경험이 잘 기억됨

언어는 암묵기억 / 암묵기억 형성 쉬울수록 효과 크다

단기기억 중 일부만 장기기억 된다 ☞ 반복

낯선 단어 외우기 ☞ 새로운 시냅스 형성은 힘들지만 그 다음엔 친숙해져서 쉬워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