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과학도에게 보내는 편지 -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과학자 <개미>, <통섭>의 저자 에드워드 윌슨이 안내하는 과학자의 삶, 과학의 길!
에드워드 O. 윌슨 지음, 김명남 옮김, 최재천 감수 / 쌤앤파커스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젊은 과학도에게 보내는 편지, <과학도가 갖추어야할 마음가짐이란?>

 

 

에드워드 윌슨은 개미연구가이자 사회생물학의 창시자 그리고 통섭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낸 인물이다. 그런 인물이, 젊은 과학도를 위해서 책을 출간한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과학을 하기위해서 무엇이 필요하다고 생각할까? 뛰어난 두뇌와 명석함 혹은 많은 연구자본과 우수한 인재들 아니면 넓은 백그라운드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저자는 이러한 것들을 무시한 채, 기본적인 것을 강조하고 있다. 에드워드 윌슨은 기본적으로 수학실력을 강조하고 있다. 에드워드 윌슨도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되기 직전까지도 수학 때문에 골치를 썩었다고 한다. 하지만, 기본적인 수학적인 마인드 없이는, 훌륭한 과학자가 되기 어렵다고 한다.

 

 

그 다음으로 강조하는 것은 두뇌가 아니라, 열정이다. 에드워드 윌슨은 사실, 많은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IQ가 생각보다 높은 것이 아니라고 한다. IQ가 높은 인재들은 차라리 회계사가 어울리지 과학자에는 어울리는 인재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열정은 무엇인가? 에드워드 윌슨이 개미연구를 시작할 당시에는, 개미만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과학자가 세계적으로 10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그런 분야에서 최고가 된 윌슨은 다른 분야에서도 더 많은 연구비용을 얻을 수 있었고, 우수한 인재들과 함께 연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남들이 모두 뛰어드는 분야에서 최고가 되려고 하지 말고, 남들이 하지 않는 분야에서 최고가 되라는 것이다.

 

 

실험이라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단순한 생각에서부터 시작해서, 그 실험을 확장해서 자신의 이론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당장 개미들을 보자. 개미들은 동료 개미가 죽은 지 어떻게 알까 라는 엉뚱한 생각에서 시작해서, 개미에 대해서 파고드는 것이다.

 

 

 

우리는 이런 것을 왜 알아야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는 인문학과 과학 혹은 공학에서의 융합의 개념이 강조되는 만큼, 과학을 경시해서는 사회는 발전할 수 없다. 현재 우리나라는, 순수 과학 분야는 죽어가고 있고, 그나마 공학만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이상 학문이 취업을 위한 도구로 여겨지기 않길 바라며, 자신만의 분야를 찾아갔으면 좋겠다.

 

<밑줄 긋기>


P82

독창적인 발견은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에서나 수월하게 해낼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우리가 과학의 최전선이라고 불리는 과학지식의 변경에 도달하려면, 앞선 탐함가들이 그려둔 지도가 필요합니다. 루이스 파스퇴르가 1845년에 말했듯이 행운은 준비된 사람에게만 찾아오지요. 파스퇴르가 그렇게 말한 이래 최전선으로 가는 길은 훨씬 더 멀어졌고, 그곳에 가닿고자 그 길을 여행하는 과학자도 훨씬 더 많아졌습니다.


 

그러나 당신의 여행에 더 유리해진 점도 있습니다. 요즘은 최전선 자체에 예전보다 훨씬 더 넓어졌고 지금도 계속 더 넓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물리학에서 인류학까지 어떤 분야를 고르든, 기나긴 최전선에는 아직까지 사람들의 발길이 드문 지점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니 당신은 아직 아무도 탐사하지 않은 드넓은 영역의 어딘가에 자리를 잡아야 합니다.

 

<서평단으로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