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말해줘
존 그린 지음, 박산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이름을 말해줘, <왜곡된 실연의 역사>

 

자신의 마지막 사랑이 될 것이라고 믿었던, 콜린은 19번째 캐서린에게 또 실연을 당한다. 자신의 연애의 역사를 수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고 믿고, 수치화 시켜서 자신의 실연당할 것을 예측한다. 사랑을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고 믿는 엉뚱한 소년인 콜린은, 실연의 아픔을 잊기 위해서, 자신의 친구인 하산과 여행을 떠난다.

 

여행 도중에 건샷이라는 곳에 임시로 일하기로 하고, 그곳에서 또 다른 콜린과, 린지와 다른 사람들과 만나게 된다. 그 곳에서 벌어지는 일은, 콜린에게 수학적으로 영감을 주고, 사랑을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고 확신하게 된다. 하지만, 이 수학적 증명의 큰 오류는 자신의 실연의 역사가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그렇게 캐서린이 자신의 운명인줄로만 알고 있었던 콜린은 그저 우연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사람은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고 했던가, 우리가 진실이라고 알고 있던 사건들 중에서, 정말로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얼마나 될까?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벌어지는 일은, 사람마다 느끼는 것에 차이가 있다. 어떤 사람은 좋았던 경험일 수도 있고, 어떤 사람에게는 불쾌한 경험일 수도 있다. 그런 사건들을, 모든 사람들도 이렇게 느낄 것 이라고 일반화해서는 안 된다.

 

여기서 콜린의 커다란 오류가 하나 더 있다. 정말로 캐서린이라고 불리는 여인을 사랑했던 것인가, 캐서린이라는 이름이 가지는 상징성을 사랑했던 것인가라는 오류이다. 여태까지 콜린은 캐서린이라는 상징성을 사랑해온 것이다. 이별하게 되면 또 다른 캐서린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사랑을 대체하려고 했을 뿐이다. 사랑이라는 개념은 대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사랑이 다른 사람으로 잊어지는 것은 대체가 아니라 다른 사랑이 찾아오는 것이다. 비록 연인이 이별을 했더라도, 그 이전의 좋았던 추억까지도 부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단지, 그 이전의 사랑은 추억으로 남겨질 뿐이다. 그런 감정까지도 부정하는 것은, 자신의 인연을 부정하는 것으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 콜린은 그저 수많은 캐서린이라고 불리는 여인들을 만나온 것이다. 그냥 우연을 운명이라고 믿고, 무조건 자신의 마지막 사랑이 될 것이라고 믿은 것에 불과하다.

 

소설에서 모든 갈등이 해소되고, 린지와 콜린이 새로운 인연으로 발전하는 것에 대해서 작가가 메시지를 담은 것 같다. 린지는 그 이전에, 동명이인의 콜린과 연인이었다. 콜린은 그 이전에 19번이나 캐서린이라고 불리는 여성과 만나왔다. 린지에게는 콜린은 두 번째 콜린이고, 콜린에게는 캐서린의 역사를 깨고, 다른 이름을 지는 첫 번째 여성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 두인물이 만나는 것에 대해 의의는, 린지는 무수한 콜린 중에서 또 다른 콜린을 만난 것이고, 콜린은, 캐서린이라는 여성의 역사를 깨고, 린지를 만나는 것이다. 세상의 반이 여자고, 반이 남자다. 그 사람과의 인연을 만들어가는 것은 자신의 몫이다. 사랑이 수치화되고, 예측가능하며, 법칙으로 만들어진다면, 누가 사랑을 하려고 하겠는가?

 

<서평단으로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임> 

 

http://blog.naver.com/young92022/2201865546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