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한입 더 - 철학자 편
데이비드 에드먼즈 & 나이절 워버턴 지음, 노승영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철학 한입 더, <맛보고 싶은 철학>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철학이라는 학문은 딱딱하고, 접근하기 힘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철학이라는 학문을 접근하게 해주는 책들이 철학입문서인데, 철학 한입 더 라는 책은 철학입문서로 아주 적합한 것 같다. 우리가 철학을 접근하기 어려운 이유는 철학 용어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하고, 과거 고대철학부터 현대철학까지, 철학자들의 철학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철학을 입문하기에, 무리가 있다면, 입문서를 읽고 도전하면 좋을 것이다.

 

 

우선, <철학 한입 더>의 장점으로는, 질문과 대답 형식으로 책이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지금 현재 철학을 가르치고 있거나, 연구자인 분들을 모시고 팟캐스트를 진행한 내용을 가지고 편집해서 책을 출간하였다. 문체가 문답체로 되어 있어서 이해하기가 쉽고, 팟캐스트를 진행하면서 청취자들이 궁금해 하는 점에 대해서 적절한 질문을 했기에 더 유익한 것 같다. 내가 읽은 서양철학사에 대한 입문 책으로는 <소피의 세계>가 있는데 이 책은 소설을 기반으로 한 철학 입문서이다.

 

 

<소피의 세계>에서는 아버지가 딸에게 철학사에 대해서 고대철학부터 현대철학까지,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데, <철학 한입 더>에서도 마찬가지로, 청취자를 고려해서, 최대한 눈높이를 맞추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철학입문서는 현대철학에서 약간 아쉬운 점이 많다. 현대철학에 오면, 서술이 조금 빈약하고, 현대철학은 배제되고 기술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철학 한입 더>에서는 실용주의와 실존주의 그리고 분석철학과 포스트구조주의 학자까지 기술되어 있어서 유익했다. 기존의 입문서는 사실, 실존주의까지 기술되어 있는 책들이 많지만, 그 이후에는 빈약한 것이 사실이다.

 

 

철학사 2500년을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책으로 구성한 것이 마음에 든다. 저자가 그 이전에 책을 출간했던 <철학 한입>도 관심이 가는데, 한 번 읽어 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철학 한입에서는 철학사를 서술하기 보다는 윤리학, 정치학, 미학, 인생론에 대해서 다루는 것 같은데, 이 모든 학문이 사실 철학을 기반으로 다져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오히려, <철학 한입 더>가 먼저 출간되고, <철학 한입>이 그 이후에 출간 되어야 순서가 맞는 것 같은데, 어쨌든 두 책 모두 좋은 책인 것은 확실하다.

 

 

<서평단으로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