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자기앞의 생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 없이는 살 수 없다.>

 

소설은 꼬마 모모가 바라보는 시각으로 전개된다. 모모는 자신이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지, 정확히 무슨 일이 있어서 태어났는지도 모른다. 자신을 돌봐주는 사람은 로자 아줌마와 창녀들의 아이들과 엘리베이터가 없는 7층 아파트에서 살아갈 뿐이다. 모모는 자신의 부모가 누구이며, 왜 자신을 보러오지 않는 것인지 궁금해 한다. 로자 아줌마에게 그러한 질문들을 하면, 아줌마는 울었고, 더 이상 질문을 하지 못하게 됐다. 로자 아줌마는 항상 자신의 죽음에 대해 두려워했다. 그럴 때마다, 모모는 죽음을 먼 곳에만 있다고 생각하며 대수롭게 여기지 않았다.

 

하지만, 로자 아줌마는 점점 병약해져만 가고, 모모는 로자 아줌마를 걱정한다. 그리고 뚜쟁이들에게 엉덩이를 팔지 않고, 정당하게 돈을 벌어서 살아갈 것을 다짐한다. 자신의 우산이자 벗인 아르튀르와 함께 우스꽝스러운 옷을 착용하고 길거리에서 익살꾼 노릇을 한다. 그러한 장면에는 모모가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 같다. 모모가 조금씩 성장해갈 때 마다, 로자 아줌마의 병색은 더 깊어진다. 모모는 자신이 죽어간다고 걱정하는 아줌마를 위해, 위로를 해준다. 자신을 사랑해주고, 자신이 사랑하는 아줌마를 위해 최선을 다해 간호한다.

 

어느날, 모모의 아버지라는 작자가 로자 아줌마에게 찾아온다. 모모는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듣고, 자신의 나이가 10살이 아니라, 14살이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로자 아줌마는 모모의 아버지에게 자식이라고 싸질러 놓고 키우지 않으면, 부모의 자격이 없는 것이라며 나무란다. 그리고 로자 아줌마는 모모에게 모모의 엄마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리고, 모모에게 사실대로 말하지 않은 것에 대해 고백한다. 모모가 성장해서, 살던 집을 떠나게 되는 날이 빨리 다가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모의 나이를 속이고, 부모님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끝내 로자 아줌마는 죽게 되지만, 모모는 부모 못지않게 키워준 로자 아줌마에 대한 사랑으로 인해 아줌마를 쉽게 떠나보내지 못한다.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 없이는 살 수 없다.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에게, 그 사랑에 대한 감사함을 전하지 못한다면, 사랑한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p265

노망이 들기 전 하밀 할아버지가, 사람은 사랑할 사람이 없이는 살 수 없다고 한 말은 옳은 것 같다. 하지만, 나는 아직 이 집 식구들에게 아무것도 약속할 수가 없다. 두고보아야겠다. 나는 로자 아줌마를 사랑했고, 계속 그녀가 보고 싶을 것이다. 하지만 이 집 아이들이 같이 있자고 조르니까 얼마 동안은 같이 있고 싶다. 나딘 아줌마는 내게 세상을 거꾸로 돌아가게 하는 법을 가르쳐주었다. 나는 그것에 굉장한 흥미를 느껴, 온 마음을 다해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라몽 아저씨는 내 우산 아르튀르를 찾으러 가기까지 했다. 감정을 쏟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아르튀르를 좋아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므로 내가 몹시 걱정했기 때문이다. 사랑해야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