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모든 엄마들을 위하여 -

 

엄마를 부탁해를 읽어내려가는 순간부터, 뒷골이 서늘했다. 일반적인 소설에서 화자가 "나"로 설정되어 있는데, 엄마를 부탁해에서는 "너"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 처음부터 작가가 독자들에게 어머니께 잘하라고 경고를 주는구나라고 단순히 생각만 했다. 하지만, 책을 읽어내려가면서 나의 어머니에 대해서 생각했다. 나는 항상 어머니를 어머니로만 생각했다. 어렸을 때는 막연히 그냥 어머니는 어머니구나, 그렇게 밖에 생각을 못했다.
 
어머니도 한 때는 어머니의 어머니의 자식이였고, 아버지의 딸이였다. 그리고 누군가의 동생이였고, 학교에서는 학생이였고, 직장에서는 사원이였다. 하지만, 나는 나의 엄마로 밖에 생각을 하지 못한다. 그저 무조건적인 사랑을 주시는 나의 엄마로..
 
어머니는 가끔 투정을 부리신다. 내가 군대에 다녀오고 나서, 가끔씩 어머니라고 부르기 시작했는데 그게 서운하다고 하신다. 엄마는 그냥 엄마니까, 엄마라고 부르라고  왜 적응 안되게 어머니라고 부르냐고 하신다. 엄마에서 어머니로 호칭이 바뀌면, 사이가 멀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지않냐고, 당신은 어머니가 되는게 싫다고 하신다. 이러한 말씀에 나는 약간 놀랬다. 하긴, 엄마가 외할머니께 어머니라고 부른 적이 없었다.

엄마가 그렇게 하신 뜻에는 깊은 이유가 담겨있을 줄 몰랐다. 엄마를 엄마로 부르는 이유에는 이토록 깊은 뜻이 있었던 것이다. 소설에서는 치매에 걸린 엄마가 실종이 되고나서 가족들이 엄마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는 내용이 나온다. 소중한 사람을 상실하고 나서야 깨달은 것이다.
 
막상 곁에 있는 것에 대해서는 소중함을 느끼지 못한다. 왜일까? 늘 곁에서 나를 지켜주셨기에 그러한 고마움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이다. 엄마는 공기와 같은 존재이다. 비유를 이런식으로 밖에 못하지만, 정말로 공기와 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생명활동을 위해서는, 호흡이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호흡에 있어서 공기가 얼마나 소중한지를 잘 깨닫지 못한다. 항상 대기에 일정량의 공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공기라는 것이 사라지게 되면 어떨까? 우리는 죽음에 공포를 느낄것이고, 얼마 못버티고 죽을 것이다. 엄마는 그런 존재이다. 늘 우리 곁에서, 투정없이 우리를 위해 희생을 하시기에 우리는 그러한 고마움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이다.
 
세월이 흘러가면, 나도 늙어가고, 엄마도 점점 연로해지실 것이다. 그리고, 소설처럼 아프실 수도 있을 것이다. 엄마에게 잘해야 된다는 생각만이 아니라 진정으로 실천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엄마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라도 해드리고,
바쁘더라도 하루에 한 번씩 전화를 드리는 것이 효도지, 다른 거창한 것이 효도가 아닐 것이다.
 
엄마는 항상 나의 안부를 물으셨다. 항상 먼저 묻는 것은 밥은 먹었니, 아픈 데는 없고? 라는 가장 중요한 물음이였다. 뒤늦게 돌아서고 후회해봤자 소용없다. 있을때 잘해 후회하지 말고라는 가사가 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상실하고나서야 깨닫는 멍청한 짓은 하지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