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인간에 의해 벌여지는 28일간의 비극.>
소설은 재미가 있어야한다. 하지만 우리에게 어떠한 메시지를 남겨야 한다. 재미와 메시지를 동시에 남길 수 있는 소설은 거의 없다. 하지만, 소설「28」에서 그러한 면모를 보았다. 소설 28은 5명의 인간과 1마리의 개의 시선으로 전개된다. 드림랜드라는 유기견 보호소를 운영하는 재형, 세상을 삐딱하게 살며 일탈행위를 수 없이 저지르는 동해, 근거 없는 기사로 한 사람의 인생을 흔드는 윤주, 개들에게 아내를 잃고 개를 학살하는 기준, 전염병이 아닌 인간들에게 몸을 빼앗기는 수진, 그리고 한 마리 개 링고이다.
소설에서는 질병의 공포보다는, 인간의 본성에 대해서 서술한다. ‘빨간 눈 괴질’로 불리는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죽어가는 모습보다는 인간에 의해 죽어가는 모습을 강조한다. 이렇게 인간에 의해 인간이 죽어가는 모습을 읽어가면서, 인간적인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도대체 인간적인이라는 뜻을 어떻게 해석해야 되는가라는 문제에 대해 인간의 본성에 따라 해석하면 어떻게 될까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성선설’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성악설’ 인간의 본성이 교육이나 환경에 의해 후천적으로 결정된다는 ‘백지설’로 접근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우리는 인간적이다라는 뜻을 일반적으로 휴머니즘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적인’이라는 뜻에 대해 살아가는데 있어서 함께 희노애락을 느끼며, 정을 나누는 따뜻함을 떠올린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인간의 본성이 어떻게 무너지는가를 보여준다. 개만도 못한, 아니 개보다 못한 인간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소설에서 한 마리 개인 링고가 죽은 줄 알았던, 스타라는 개를 어떻게든 살려보려고 안간힘을 쓰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대조적으로 인간들은 죽어가는 화양시를 살리려고 하지 않는다.
그리고 인간들은 자신들의 목숨에 대해 걱정을 하고, 화양시에 공수부대를 보내어 통제한다. 나라를 지키는 군인들이 총을 들어, 총구를 우리에게 향하게 한다. 질병에 대한 공포는 인간들을 비인간적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비인간적이라는 말은 옳지 않다. 인간들이 자신의 목숨을 지키기 위해 총을 드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작가가 인간이 악하다고 여기고, 소설을 구성했으면, 인간적인 면모를 참 잘 보여준 것이다.
마지막으로 백지설에 대해서 생각했다. 항상 삐뚤어지게만 살았던, 동해는 다르게 살 수 있지 않았을까? 동해는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한 못난 아들로만 살아왔다. 형은 ‘아들’ 동생은 ‘내딸’ 개를 ‘내 새끼’라 부르지만, 동해만은 항상 박동해였다. 아버지가 ‘가혹행위’와 ‘체벌’이 아닌 애정과 사랑으로 잘못을 바로잡아 주었다면, 동해는 이렇게 살지 않았을 것이다.
이 소설에서 화양에서 벌어지는 비극은 유기견 보호소인 드림랜드(꿈의 나라)와 대조된다. 인수공통전염병 창궐이라는 국가비상상태에서 벌어지는 디스토피아는, 꿈의 나라에 냉소를 퍼붓는다. 최근 에볼라 바이러스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모 대학에서 개최한 국제대회에 에볼라 바이러스가 발병한나라의 학생이 참가한다고 해서 비난여론이 들끓은 적이 있다. 만약 자신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걸린 나라의 학생이고, 입국금지를 당했으면 어떤 기분일까? 그리고 소설과 같은 상황이 벌어진다면, 디스토피아가 아닌 꿈의 나라로 나아갈 수 있을까?
> 인상깊은 구절 |
p377 ~ p378 “예전부터 아빠한테 궁금한 게 있는데.” 아버지는 미동도 없이 그의 눈을 노려봤다. 잿빛 머리칼은 시너로 젖어 있고 잿빛 수염에는 피 응괴가 면도 크림처럼 뒤덮여 있었다. “왜 그렇게 나를 미워했어.” 이상하게 다리가 덜덜 떨려왔다. 목소리까지 떨리는 것 같았다. 동해는 종아리에 힘을 주고 방문 쪽으로 한 발짝 더 물러섰다. 문턱에 운동화 뒤꿈치가 닿았다. “동범이 형이나 동아는 사랑했으면서, 나는 자식 아닌가?” 아버지는 말이 없었다. 어금니를 꽉 물었을 뿐, 표정 변화도 없었다. 그렇겠지. 무슨 할말이 있겠어. 동해는 문턱 너머로 물러섰다. 아버지는 문턱 앞으로 다가왔다. “병원 환자처럼만 대해줬어도 좋았잖아. 적어도 환자들을 지하실에 가두지는 않을 테니까.” 동해는 화염병 주둥이에 라이터를 댄 채 계단 문 쪽으로 뒷걸음질했다. 아버지는 두 발짝 거리를 유지하며 전진했다. “아홉 살짜리 어린애가 지하실에 갇혀 어떤 심정으로 밤을 새웠을지, 한 번이라도 생각해봤어? 얼마나 무서울지 짐작이나 해봤냐고, 거기 갇힐 때마다, 엄마나 형이나 동아가 거실에서 아무 일도 없다는 듯 웃고 떠들고 뭘 처먹는 소리를 들을 때마다, 그 컴컴한 지하실 구석에 몸을 웅크리고 내가 무슨 상상을 했을 것 같아? 이 집이 활활 타는 꿈을 꿨어. 다 태워 죽여버리는 꿈을 꿨다고ㆍㆍㆍㆍㆍ.” p402 거리의 총성이 사라졌다. 총성과 관련된 것들도 완전히 사라졌거나 사라지는 중이다. 완전히 사라진 것은 개다. 화양 곳곳을 돌아다닌 지난 며칠 동안, 단 한 마리도 보지 못했다. 산기슭이나 들판을 나도는 개조차도 없었다. 총을 든 자들은 사라지는 중이다. 시청을 제외한 주요 관공서 앞 초소들이 대부분 비었다. 빈 검문소도 부쩍 늘었다. 어젠 통금 단속반도 나타나지 않았다. 총소리는 도시 외곽이나 산골짜기에서만 요란하다. 그 많던 군인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봉쇄선 밖으로 물러갔을까? 아닐 것이다. 우선 ‘이동’이라 할 만한 대규모 움직임이 없었다. 취재한 바로, 사라진 군인들이 몰려 있는 곳은 화양의료원이다. 그들 역시 죽거나, 죽어가는 중이고, 외부에서 병력이 수혈되는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이대로 가면 화양이 무정부 도시가 되는 데는 일주일이 채 걸리지 않을 것이다. 반면 봉쇄선 병력은 점점 늘어나고 강화되는 분위기다. 다른 도시로 연결되는 순환도로, 국도, 터널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산골짜기까지 중화기로 무장한 군인들이 이중 삼중 방어선을 치고 있다고 했다. 밤이 되면 정찰 헬기가 서치라이트를 켜고 도시 외곽을 쉴 새 없이 맴돈다... |
http://blog.naver.com/young92022/220122179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