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사랑일까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공경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사랑일까?
우리는 사랑일까는 남녀간의 만남과 이별 그리고 다시 새로운 인연을 만나게 되는 과정을 그리는 소설이다. 소설에서 개인적으로 작가가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것은 별로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전개의 양상이 남녀간의 일들을 작가가 분석해나가는 방식이다. 소설을 스스로 곱씹어 보고 내 나름대로의 가치판단을 하고 싶지만 작가가 분석해주니 어쩔 수 없다. 소설의 중점이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두 사람의 만남, 이별, 그리고 또 다른 인연이 찾아오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앨리스에게 에릭과의 만남이 이루어지기전에 뭔가 자극이 되는 일들이 없었다. 앨리스는 친구와 친구의 남친이 염장을 지르는 것을 지켜만 보고, 주변에서 남자를 소개시켜준다는 둥 가만히 있는 앨리스의 신경을 건드린다. 이렇게 염장질을 보고 있는 앨리스는 아무렇지도 않은 척 하지만 외로움이 줄곧 찾아오고 남들이 다 연애하는데 나도 연애하고 싶다는 마음이 점점 강해진다.
이렇게 뒤숭숭한 마음을 한편에 간직하게 된 앨리스가 우연찮게 파티에 참석한 에릭을 만나게 되고 둘의 연애가 시작된다. 여기서 작가는 ‘사랑을 사랑하다’라는 소제목을 건다. 앨리스가 하는 연애가 에릭에 대한 사랑이기 보다는 사랑이라는 관념 자체를 사랑하기 때문에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랑에 대해 자신이 직접 그 사람과의 사랑을 자율적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남들이 전부 연애를 하고 행복하다고 하니깐 그런가보다 하는 모방심리로 인해 관계가 지속된다는 것이다.
앨리스와 에릭의 연애가 진행되면 될수록 주도권이 에릭에게 넘어가는데 이것을 권력이라고 표현한다. 권력이란 ‘어떤 일을 하거나 어떤 영향을 미치거나, 사람이나 사물에게 작용을 가하는 능력’인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권력과 달리 사랑에서는 권력이 무엇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라,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되는 능력이라고 간주한다. 권력을 지니고 있는 에릭이라는 남들이 부러워 할만한 남자를 만나고 있어서 그런지, 앨리스는 자격지심이 점점 강해진다.
여기서 앨리스의 사랑을 종교적인관계라고 표현하는데 낭만적인 사랑이 아닌 신을 거룩하게 경배하는 행위와 같이 비유하는 것이다.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가 수평적으로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날이 갈수록 수직적 관계로 변화되는 것이다. 엘리스가 에릭이 자신보다 우위에 있다고 생각을 하니 둘의 관계도 악화된다. 혼자만의 언어로 소통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 앨리스는 관계에 대해 지쳐가고, 자신이 그렇게 우상화하던 에릭이라는 존재에 대해 평범한 사람에 불과하다고 느끼기 시작한다. 같은 사랑의 길을 걷고 있다고 착각하던 앨리스는 두 사람이 같은 방향으로 걷고 있어보여도 서로의 목적지는 같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다. 결국 앨리스는 이별을 하게 되었지만,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진다고 했던가 자기에게 계속 대쉬해오던 필립과의 새로운 사랑이 시작되면서 소설은 막을 내린다.
인상깊은 구절 |
p.203(왜 사랑 받는가?) 1. 육체 때문에 사랑받는 것 2. 돈 때문에 사랑받는 것 3. 이뤄놓은 일 때문에 사랑받는 것 4. 나약함 때문에 사랑받는 것 5. 세세한 면 때문에 사랑받는 것 6. 불안감 때문에 사랑받는 것 7. 두뇌 때문에 사랑받는 것 8. 존재 때문에 사랑받는 것 a) 외모 b)직장 c)돈 d)능력 p.318(내가 어떤 사람이 되게하나?)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빌리면, 타인들이 우리를 이해하는 폭이 우리 세계의 폭이 된다. 우리는 상대가 인식하는 범위 안에서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들이 우리의 농담을 이해하면 우리는 재미난 사람이 되고, 그들의 지성에 의해 우리는 지성 있는 사람이 된다. 그들의 너그러움이 우리를 너그럽게 하고, 그들의 모순이 우리를 모순되게 한다. 개성이란 읽는 이와 쓰는 이 양쪽이 다 필요한 언어와 같다 일곱 살 아이에게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허섭스레기이며, 만약 그의 작품이 일곱 살 아이들에게만 읽힌다면 세익스피어는 그 아이들이 이해하는 수준에서 평가받을 수 밖에 없다. p.320(내가 어떤 사람이 되게하나?) A가 B를 바라보면 B는 A의 눈길에 담긴 생각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A가 B를 작고 사랑스럽고 피부가 보드라운 천사라고 생각하면 B는 작고 사랑스럽고 피부가 보드라운 천사가 된 기분을 느끼기 시작한다. 하지만 A가 B를 2 더하기 2도 못 하는 천하의 멍청이로 생각하면, B는 그 생각에 맞게 자신의 능력이 쪼그라드는 느낌이 들어, 결국 2더하기 2는 6쯤 된다고 답하게 될 것이다. p.364(혼자만의 언어) 불평을 표현하는 행동 뒤에는 상대가 잘못을 빌 거라는 낙관적인 믿음이 깔려 있을 것이다. 불평은 대화에 대한 믿음을 암시한다. 상처를 입긴 했지만, 이쪽이 화난 것을 상대가 이해해줄[돌아봐줄]수 있으리라는 생각이다. p.392(선언) “내 일부가 아직도 그이에게 밀착되어 있어” 그날 오후 앨리스는 수지에게 말했다. “하지만 내가 진짜로 그리워하는 건 그 사람이 아니라는 걸 알아, 미쳤나봐” “네가 그리워하는 건 사랑이야” 수지가 한숨처럼 속삭였다. |
책을 읽다가 보니깐 윤하의 『우리가 헤어진 진짜 이유』라는 곡이 떠올랐다. 개인적으로 연애나 사랑을 줄창 부르짓는 소설 혹은 노래를 싫어하는데, 사람은 사랑이 없이 살수 없는 걸까 감상에 젖는다..
-우리가 헤어진 진짜 이유中- |
우리가 헤어진 진짜 이유 너는 알고 있을까 아마 지금의 너에겐 아무런 상관이 없겠지 이해할수록 멀어지던 너 좀처럼 화내질 않았던 나 노력할수록 지루해졌던 너와 나 설레임뿐야, 니가 바랬던건 처음뿐이야, 니가 날 바라본건 우리가 헤어진 진짜이윤 없어 니가 날 사랑하지 않았을 뿐 다른 이윤 없어 oh~ 날 사랑한적 없을 뿐 oh~ 이제야 모든게 선명해 내가 널 사랑한 진짜 이유 너는 아마 모를걸 그래 알았다면 나를 쉽게도 떠날리 없겠지 새로운 사랑 꿈을 꾸던 너 영원한 사랑을 꿈꾸던 나 바라보는게 너무 달랐던 너와 나 설레임뿐야 니가 바랬던건 처음뿐이야 니가 날 바라본건 우리가 헤어진 진짜 이윤 없어 니가 날 사랑하지 않았을 뿐 다르게 쓰인 너와 나의 사랑 다르게 남을 너와 나의 마지막 내가 널 반드시 잊을 필욘 없어 어차피 혼자 남은 이자리에 조금 더 있을게 나쁜 꿈을 꿨어 다시 돌아온 너에게 다시 반한 나 멋대로 돌아온 너를 또 받아주던 나 설레임뿐야 니가 바랬던건 처음뿐이야 니가 날 바라본건 우리가 헤어진 진짜 이윤 없어 니가 날 사랑하지 않았을 뿐 다른 이윤 없어 Oh~ 날 사랑한적 없을 뿐 Oh~ 이제야 모든게 선명해 우리가 헤어진 진짜 이유 영원한 사랑을 꿈꾸던 나 날 사랑한적 없을 뿐 바라보는게 너무 달랐던 너와 나 이해할수록 멀어지던 너 내가 널 사랑한 진짜 이유 사랑을 꿈꾸던 나... http://blog.naver.com/young92022/220109103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