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들의 행복 백화점 1 세계문학의 숲 17
에밀 졸라 지음, 박명숙 옮김 / 시공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두부류로 나눌 수 있다.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을 운영하는 무레와 같은 인물과 기존 부티크라는 형태의 소매업자들인 보뒤, 부라영감 등의 인물들이 있다. 여인들의 행복백화점이 정가제 판매, 반품제도, 세분화된 상품진열, 통신판매, 바겐세일 도입, 매출에 따른 수당지급으로 인해 부티크를 운영하는 업자들은 불행해져 간다. 소매업자들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가격경쟁, 품질경쟁, 인테리어 등) 거대자본의 여인들의 행복백화점에게 모든 손님들을 빼앗기고 만다.

 

하지만, 소설 속에서 물질만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처음에 부티크로 시작한 무레가 자신이 취급하던 섬유업종 뿐만 아니라, 잡화, 신발, 우산 등 다양한 업종까지 차지하면서 남부럽지 않은 자산가가 되고, 모든 여인들의 마음을 손에 넣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도, 손에 넣을 수 없는 인물이 있는데 그것이 드니즈이다. 무레가 ‘드니즈를어떤식으로도 유혹하려고 하지만 계속 거절당한다. 모든 여성들의 마음을 정복하는데 성공한 무레지만, 평범한 판매원의 마음을 손에 넣지 못하는 무레는 세상을 정복하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냐면서 절망하고 만다. 자신의 곁에만 있어달라고 애원하는 무레 앞에서 결국 드니즈는 그 고백에 응하고, 소설은 행복하게 막을 내린다.

  

150년 전에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백화점의 형태가 프랑스에 존재했다는 것이 놀랍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쇼핑을 할 때, 얼마나 현명하게 구매하는가를 고민해보곤 한다. 하지만, 자기도 모르게 대량으로 구매 하거나, 충동적으로 구매하곤 한다. 소비형태가 우리의 필요로 인한 소비가 아니라 욕망으로 인한 소비로 변했다는 것이다. 소설 속에서 중립적인 시각으로 상업형태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마음에 든다. 대기업 형태의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에 모습과 소매업 형태의 상인들의 단면들을 어느 한쪽을 옹호하거나 깎아내리지 않는 것이다. 소비자에게 있어서,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이 생겼다는 것이 참으로 행복한 일이다. 값싼 가격과, 좋은 품질, 다양한 상품 등을 다양하게 비교하면서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종업계에서 종사하던 업자들에게는 큰 불행이다. 가격경쟁, 품질경쟁, 서비스 등 어떤 면에서 경쟁해도 거대자본을 상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시대의 흐름으로 여기며, 발전가능성이 없는 전통 엘바프와 같은 소매업의 몰락과, 거대 자본화에 따른 여인들의 행복백화점의 비인간적인 면모를 여실히 보여준다. 또한 소비형태의 변화도 보여주는데기존 소비자들은 부티크 같은 상점에서, 주인과 흥정을 해서 한 상점에서 한가지 품목을 구매하고, 필요한 것을 구매했다. 하지만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이 생긴 이후로, 필요하지도 않은데 가격이 싸다는 이유로 구매하거나, 대량으로 다양한 품목들을 사거나, 단순히 물건을 사지도 않을 건데 구경만 하고 간다거나, 사람이 많은 틈을 이용해 물건을 슬쩍 훔친다거나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의 소비 형태와 150년전에 형태와 별반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http://blog.naver.com/young92022/2201073590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