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팽 양 ㅣ 이삭줍기 환상문학 3
테오필 고티에 지음, 권유현 옮김 / 열림원 / 2020년 4월
평점 :
이 소설을 감상하기에 앞서, 우선 출판사의 소개글을 읽고 간략하게 어떤 소설임을 알고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대충 어떤 내용이구나라고 감이 잡히신 분들도 이 책의 200p까지의 내용을 버티시기 힘드실 것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꼭 알아야 될 배경지식이 있습니다. 셰익스피어의 「뜻대로 하세요」의 대략적인 줄거리를 알고 있어야 이 책을 온전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오비디우스 「변신이야기」에서 나오는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이야기의 내용을 알아야 이 소설의 맛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0p가까이 서간체로 진행이 되는데, ‘달베르’라는 인물이 친구에게 미인의 탐구에 매달리는 번민과 묘한 심리에 대해서 털어놓는 내용입니다. 이 부분을 읽으며 ‘내가 편지를 받는 사람의 입장이면 참 곤란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시에 신화속의 인물과 역사적인 인물에 대한 묘사를 보며, 문체가 아름답다고 느꼈습니다. 결말을 보면 앞서 200p에 가까운 편지내용을 쓴 달베르가 왜 이렇게 쓸 수밖에 없었는지 이해가 갈 것입니다. 진행 중에 ‘달베르’와 ‘로제트’가 주고받는 대화와 '테오도르'와 '로제트'가 주고받는 대화가 나오는데, 이 대화가 희곡의 극본을 읽는 느낌을 줍니다. 후에 실제로 인물들이 연극을 하는데, 이 장면이 소설에서 매우 중요한 장면입니다.
대략 200p에 가까워지면 작가도 미안한지 일반적인 소설의 전개로 바꾸겠다는 암시를 줍니다. 여기서부터 ‘테오도르’와 ‘로제트’의 일화로 전개됩니다. 로제트는 테오도르를 사랑해서 계속 구애하지만, 테오도르는 사랑을 받아주지 않고 로제트에게서 계속 도망칩니다. 후에 전개로는 시간의 순서대로 전개되다가 갑자기 테오도르의 과거 일화가 나오면서 테오도르의 정체가 밝혀집니다. 다음 전개에서 두 명의 인물이 번갈아가면서 각자의 친구에게 편지를 쓰는데, 이 편지를 쓴 인물들이 누구인지는 서서히 드러납니다. 편지글 전에 테오도르의 시종에 대한 일화가 나오는데 두 인물이 각자 친구에게 편지를 주고받는 내용이 번갈아가면서 끝나면, 이 일화에 대한 떡밥회수가 기가 막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개가 거듭될수록 작가가 앞에 떡밥을 푼 것을 회수하는데 앞에 200p를 읽다가 지옥을 맛보다가 점점 재미가 있어지자 그 재미가 몇 배는 증폭된 기분이 들었습니다. 약간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느낌도 들었지만, 소설이라고 생각하면 이 정도는 봐줄만합니다. 특히 당시 사회에 존재하는 여성의 종속성을 꼬집으며, 비판하는 내용이 일품입니다. 나는 여성도 아니고 남성도 아닌 온전히 ‘나로서 존재한다.’라고 선언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면서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젠더갈등의 해법이 아닌가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결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결말직전의 내용에서는 이 소설도 뻔하게 끝나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결말을 보고 저의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이 책을 읽으신 후에는 오스카와일드의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도 읽어보실 것을 권합니다. 테오필 고티에가 유미주의(탐미주의)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고, 실제로 읽어보니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도 많이 떠올랐습니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을 읽어보신 분이라면, 이 책도 좋아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제 난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또 아름다움을 이해해. 내가 입고 있는 남자 옷은 나를 여성으로부터 분리하고 모든 종류의 경쟁심을 지워주었어. 그래서 누구보다도 여자를 잘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해. 나는 이미 여자가 아니야. 그렇다고 남자도 아니지. 또한 정욕에 눈이 멀어 마네킹을 신상으로 보는 일도 없을테고, 냉철하며 어떤 편견도 갖고 있지 않아. 내 입장은 완전한 중립이야. (P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