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은 어떻게 권력이 되었는가 - 우리를 교묘하게 조종하는 경제학에 관한 진실
조너선 앨드리드 지음, 강주헌 옮김, 우석훈 해제 / 21세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어판 제목은 <경제학은 어떻게 권력이 되었는가>인데 원제목은 <How economics corrupted us>이다. 솔직히 읽으면서 경제학이 어떻게 권력이 되었는지 이해가 가질 않았는데, 책을 다 읽고 나서 다시 제목을 읽어보니 원제목이 좀 달랐다. corrupt는 ‘부패하게 만들다’ 또는 ‘타락시키다’라는 동사로서의 의미가 있는데, 어떻게 권력이 되었는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권력이란 부패하기 마련이니, 의역을 했다면 그럴 수도 있다. 이 책의 제목이 전체를 관통하는가라고 묻는다면, 그건 아닌 것 같다.

 

 

저자는 현대경제학에서 중요한 흐름들을 책에서 다루는데, 솔직히 경제학에 문외한 사람이면 읽기가 힘들다. 원래 모든 비문학 서적은 이론->사례->적용의 순서로 적혀있는데 이 책은 그런 방식으로 적혀있지는 않아서, 초심자나 비전공자가 편하게 읽을 만한 서적은 아닌 것 같다. 나는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저만의 담론을 제시하고 싶은 책인지, 아니면 평범한 일반인에게 현대경제학의 흐름을 이야기하고 싶은 책인지 마지막챕터까지 감을 잡지 못했다. 옮긴이의 글을 보면 이런 멘트가 나온다.

 

 

어떤 경제학이 좋은 경제학일까? 저자는 장하준의 표현을 빌려, 평균적 지식을 지닌 독자라면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경제 이론을 쉽게 표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피상적인 통계적 수치를 들먹이며 경제현상을 왜곡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주류경제학을 비판하는 부분이나, 소득세 증세에 대한 당위성을 설명하는 부분에 동의하느냐 동의하지 않느냐는 각자의 몫이지만 저자의 논리적 전개는 무척 설득력 있어, 사회 현상을 보는 당신의 시야를 넓혀주기에 충분하다. (443P)

 

 

옮긴이의 말처럼 저자의 주장에 동의하냐 안하냐는 하나의 주장이니 그냥 넘어가고 싶다. 마지막챕터에서 저자가 앞으로 경제학이 나아갈 길을 설명하는데 이 부분은 좀 공감이 간다. 저자는 게임이론/무임승차/인센티브/행동경제학/법경제학/불평등/블랙스완 등의 다양한 쟁점들을 다루지만, 이 책을 읽는 독자가 경제학 전공자가 아니라면 읽기가 어려울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고 해서 저자만의 특정한 담론을 제시한다고 보기도 어렵다. 저자의 주장은 마지막챕터에서만 정확히 나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많은 파트들을 400p밖에 되지 않는 분량으로 다뤄서 경제학전공자라면 내용의 깊이가 없다고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다. 여러모로 읽으면서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게임이론/블랙스완이론/행동경제학 등의 여러 파트를 맛보고 싶은 독자들에게는 적합할지도 모르나, 각 파트별로 그 이론의 정수를 맛볼 수 있게 설명하지는 못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