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
호프 자런 지음, 김은령 옮김 / 김영사 / 2020년 9월
평점 :
기후변화, 생태계 파괴, 에너지 자원 고갈 등은 환경에 관심이 없다고 해도 자주 듣거나 읽을 수 있는 이야기다. 그것도 최근이 아니라 몇 년 전부터 심각하다고 회자되고 있는 주요한 이슈다. 그렇게 떠들어도 크게 달라진 게 체감되지 않는 이슈이기도 하다. ^^;;; (이 책을 읽으니 '파리기후협정'이니 그 난리를 피워도 왜 그게 체감되지 않았는지도 확실히 알겠다.)
이 책을 쓰기 위해 조사와 연구를 시작했을 때 희미한 북소리처럼 들리던 것이 이제는 내 머릿속에서 마치 주문처럼 울려 퍼지고 있다. 덜 소비하고 더 많이 나누라. 13장에서 살펴보겠지만 우리 자신으로부터 스스로를 구하도록 해주는 마법 같은 기술은 없다. 소비를 줄이는 것이 21세기의 궁극적인 실험이 될 것이다. 덜 소비하고 더 많이 나누는 것은 우리 세대에게 던져진 가장 커다란 과제다.
-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 中 p.127
이전에 방송에서 환경을 위해 에코백이나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을 두고 인터뷰하던 전문가가 솔직히 그것보다 육식을 줄이는 게 환경에 보다 도움이 된다고 했을 때 우리가 하는 다양한 환경 보호의 방법들의 실제 효과는 정말 어떨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은 그런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의미가 있는 데이터로 가득 차 있다.
전 세계 인구의 6분의 1이 전 세계 전기의 반을, 에너지의 3분의 1을 사용하며, 전 세계 이산화탄소의 3분의 1을 발생시키고 있다. 우리의 문제는 인류의 10퍼센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엄청난 식량과 연료 소비로 인해 나머지 90퍼센트의 삶에 필요한 기본적인 것들이 제대로 공급되기가 지속적으로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여전히 우리가 75억 인구가 매일 2,900칼로리씩 섭취할 수 있는 정도의 음식을 생산하고 있고 이것이 USDA(미국 농무부)가 제시한 건강한 삶을 위해 필요한 1인당 에너지 필요량을 공급하고도 남는 정도임에도 기근은 전 세계에서 사라지지 않고 있다. "덜 소비하고 더 많이 나누라"라는 저자의 말이 깊이 와닿는 지점이다.
무엇보다 재생에너지를 다룬 챕터에서 풍력이나 태양열을 이용한 전력 생산의 적나라한 수치를 보고 좀 놀랐는데 지금 같은 에너지 사용량을 두고 이걸 원자력이나 화력이 아닌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것은 데이터만 봤을 때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고 느껴졌다.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는 전인류의 적극적인 의지와 보다 직접적인 노력 없이는 우리는 -후손이고 미래고 상관없이- 지구가 가지고 있는 연료 자원을 빠르게 거덜 내는 삶으로 질주할 것이다.
그리고 저자가 지적한 대로 이 모든 문제의 가장 나쁜 부분은 이런 변화의 피해를 식량이든 에너지든 소비가 적은 실질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누리지 못하는 지역이 더 먼저 별다른 대책 없이 겪을 거라는 점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지구를 상대로 한 이 거대한 범죄(?)의 주범은 덜, 늦게 고통받는 - 어쩌면 고통받지 않을 수도 있는- 아주 부당한 상황이 연출되는 것이다.
나는 사람들에게 계속 상기시킨다. 우리는 강하고 또 운도 좋다고. 지구는 너무 적은 자원을 놓고 살아남으려 애쓰는 많은 사람들의 집이기도 하다. 우리가 식량과 안식처, 깨끗한 물을 누리는 집단이라는 사실은 지금껏 우리가 위태롭게 만들어온 세상을 포기하지 말아야 할 의무가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무언가 알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책임이 있다는 말이다.
-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 中 p.234
자신의 어린 시절과 아버지, 가족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녹여 내어 그저 데이터 자료집처럼 읽힐 수도 있는 책을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느껴지게 만든 것은 저자의 능력일 것이다. 대화의 사안은 중대하지만 무겁거나 어둡게 다가오지 않는 것도 그 때문이다. 저자는 지구와 인류를 놓고 절망보다는 희망을 이야기한다. 더 오래 살아남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3세대밖에 남지 않았다는 우리 인류에게 지금은 두려움에 떨며 포기해야 할 시간이 아니라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변화해야 하는, 책임져야 하는 시간이라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