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리어스 Curious - 모든 것은 형편없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리처드 도킨스 외 25인 지음, 존 브록만 엮음, 이한음 옮김 / 페이지2(page2)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모두 즐거운 주말 시작하셨나요?

저도 약간 몽롱한데요.

이런 상태에서 도서리뷰를 작성하는 것도 제 맛이죠.

살짝 집중이 잘 되거든요.

아무 생각없이 오롯이 책에 집중할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 함께 살펴볼 책은?

바로 <큐리어스>라는 책입니다.

제목이 아주 깔끔하죠?

제목그대로 뭔가 궁금증, 호기심과 연결되는 책인데요.

이 책의 더 재밌는 점이 있어요.

바로 원제목, 영어제목인데요.

시작하면서 더 자세히 볼게요!

<큐리어스>, 시작합니다!


컨티뉴언 독서 인사이트

 

표지에서 살펴볼 수 있는 신기한 광경?

오토바이를 고치고 있는데 뭔가 잘못되는거 같기도하죠?

뇌도 있고 생각도 있고, 무엇보다 어린이들이 있어요.

어쩌면 이 표지가 이 책의 핵심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어린이들의 놀이, 어린이들의 모습.

세계를 이끄는 과학자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고, 이에 더해 그들의 어린 시절 이야기와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 평생 연구할 것을 결정하게 된 개인적인 계기를 글로 쓰라고 꼬드길 수 있으니까.

 

보시는 것처럼 이 책은 2004년에 나온 책인데요.

좀 오래됐죠?

그런데도 불구하고 읽어야 할 가치가 있다면?

바로 집필진들인데요.

보시는 것처럼 여러분들이 한 번쯤은 들어본 사람이 다 있을거예요.

거의 과거의 아인슈타인, 빌게이츠, 에디슨급이죠.

그리고 중요한 말!

'인간은 호기심을 잃는 순간 늙는다'

요즘 시대, ai가 과도하게 빠르게 발전하는 지금!

우리에게 중요한 말이 되겠죠.

그렇게 원제목도 함께 볼게요.

<Curious Minds: How a Child Becomes a Scientist>

마인드셋을 말하고 있어요.

단순히 호기심이 중요한 것을 넘어서서 어린이가 어떻게 과학자가 됐는지.

저명한 과학자, 세계적인 과학자가 됐는지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는거죠.

내가 여덟 살 때 키 큰 멋쟁이였던 할아버지가 창밖에서 모이를 주워먹고 있는 푸른박새를 보면서 내게 무슨 새인지 아냐고 물었을 때 느꼈던 굴욕감을 지금도 나는 기억하고 있다.

 
 

부제에는 어린이와 과학자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실제 주제는 한 사람이 성공적이고 창의적인 성인으로

성장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자녀를 어떻게 키웠는지,

어떻게 자랐는지,

또는 후배들을 어떻게 멘토링해야 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패턴을 찾던 중

이 책이 매우 흥미로웠죠.

제가 배운 것은 과학자나 생각하는 성인이 되는 것은

운, 유전, 가족의 영향, 또래의 영향, 사회적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었어요.

정답은 없지만 우리 아이들과

우리 자신에게 맞는 패턴은 있을 수 있는거죠.

이 책은 잘 구성된 통계 조사는 아니지만,

흥미롭고 성공한 사람들의 유익한 에세이를 잘 구성한 책이구요.

토론하기에 좋은 훌륭한 책이라고 생각했어요.

또한 짧은 에세이의 형식이 많아

한 편씩 읽고 반성하기 쉬웠어요.

“무슨 소리야? 너희 동네가 우리보다 공산주의자가 더 많이 있다면, 너희 동네가 더 공산당 판이라는 뜻밖에 더 돼?” “아니지. 우리 동네에 공산당원이 아닌 사람들의 수가 더 많으니까 공산당원의 비율은 줄어드는 거잖아!”

 
 

저는 이 책에서 마음에 든 부분이 많았는데요.

아이들에게 "최고"와 "최신"을 주입하려는 현재의 모든 열정에 대해

가장 좋은 접근 방식은 아마도 단순히 방해에서 벗어나는 것일 거예요.

이 책에서 인상 깊었던 점은 소개된 많은 과학자들이 어렸을 때 가진 것이 거의 없었고,

모두 화학을 전공하고 고학위를 가진 부모가 아니었다는 점이예요.

제가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브롱크스 동물원에서

영감을 받은 영장류학자와 길리건의 섬의 주제곡 부분이었어요.

부모님이 나이트클럽 가수가 되길 바랐지만

낸시 드루의 책을 읽으며 수사를 좋아하게 된 여성도 있었어요.

한 외과의사는 카우보이였던 아버지가 처리한 소의 뇌에서 총알을 찾으며 자라는 얘기도 있었죠.

실제로 과학자 중 일부는 성인이 되어서야 자신의 초점을 찾기도 하는거죠.

즉, 고등학생이 과학상을 수상하지 못하더라도 여전히 희망이 있다는 뜻이예요.

이 책을 읽으면서 영감은 우리 아이들 주변에 항상 존재하며,

제가 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일은 응원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어요.

나는 그들 중 하나가 되고 싶었다. 나는 지금도 영장류를 볼 때마다 아릿한 느낌이 든다. 영장류는 바로 그렇게 나를 사로잡았다

 

이 책의 부제처럼, 이 이야기는 자녀를 과학자로 키우기 위한

가이드라기보다는 자전적 에세이에 가까운데요.

지루하게 들리나요? 절대 아닙니다.

글은 생생하고 활기차고, 이야기는 재미있고 신랄한데요.

"우리 아이가 과학을 좋아하도록 도와줄 수 있겠지"라고 생각하며 이 책을 접했다면,

"과학이 재미있어 보이는데 왜 나는 해보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될 거예요.

이 책을 읽다 보면 자신을 동료나 협력자로 대해 준

어른 덕분에 발견에 대한 열정을 갖게 된 사람들의

사례를 많이 발견할 수 있을거예요.

책을 읽어보세요.

현미경을 사서 설탕 결정을 키우고 접안렌즈를 채우는 것을 지켜보세요.

7살 딸과 이 경험을 공유하세요.

과학에는 마법이 숨어 있으며,

이 책을 통해 그 마법에 눈을 뜨게 될 거예요.

소의 눈앞에서 생명의 불꽃이 반짝거렸을까? 사후 세계를 떠올렸을까?

 

우리 대부분은 (어린 시절을 겪을 때) 자신이 무엇이 될지 알지 못하며,

미래가 우리를 위해 준비된 것을 피할 방법도 모릅니다.

우연은 우리가 원치 않는 방향으로 우리를 이끌기도 하죠.

인생이 언제 우리에게 커브볼을 던질지 알 수 없어요.

옛날에는 '호기심 많은' 아이들을 과학자로 키우는 데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큰 돈을 버는 데만 관심이 있는 이식인과 외계인들로 가득했죠.

토마스 울프의 말처럼 "다시는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말이 맞을 수 있어요.

집은 자신이 태어난 곳이 아니라 현재 있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신화이자 착각입니다.

똑같은 것은 없습니다.

아무도 당신을 반겨주거나 "집에 돌아왔다"고 환영해 주는 사람은 없습니다.

이 책에는 하워드 가드너의 사회과학자 되기 이야기, 도인 파머(물리학), 스티븐 스트로가츠(수학), V. S. 라마찬드란(과학) 등 이름도 생소하고 들어본 적도 없지만,

사회과학 모음집에 포함될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을 거둔 인물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존 브록먼의 저서로는 '추측', '창의성', '사물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등이 있으며,

모두 개인으로서 우리가 누구인지,

어른으로서 어떤 사람이 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요.

추가적으로 제가 궁금한 것은 그가 왜 "호기심 많은 마음"을 가진 과학자가 되지 않았는지인데요.

저자를 만나면 물어보고 싶네요.

여기까지!

오늘도 함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재밌고 좋은 책으로 얘기나눠볼게요

📚

진짜 요인은 동년배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이었다.


#큐리어스 #리처드도킨스 #존브록만 #포레스트북스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컬처블룸을 통해 도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