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숲속 가든
한윤섭 지음, 김동성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25년 3월
평점 :
한윤섭 작가의 신간 <숲속 가든>을 읽었다. 단편 '숲속 가든','이야기의 동굴','잠에서 깨면','비단잉어 준오 씨' 가 실려 있다.
책을 받은 자리에서 한 번에 읽고, 며칠 지나 두 번 더 읽었다. '역시 한윤섭 작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물과 장면이 눈앞에 생생하게 그려지도록 매끈하게 써 내는 필력이 독보적이다. 덜컥거리는 문장 하나 없고, 이어지는 이야기가 궁금해서 견딜 수 없다.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끝까지 읽게 된다.
'딱 한 번 다른 사람들이 절대로 주울 수 없는 걸 주운 적이 있었다.'(숲속 가든), '세상에는 가끔 믿을 수 없는 일도 일어나거든. 넌 내 말을 믿을 수 있을까?'(비단잉어 준오 씨)
이토록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너에게만 들려주겠다는 작가의 제안을 독자는 거부할 수 없다. 신비하고 은밀한 분위기에 이야기꾼(작가) 앞으로 바짝 다가 앉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숲속 가든>은 재미있다. 하지만 이 '재미'란 것이 자극적이고, 금세 사라지는 '유흥'이 아니라 오래 남아 독자의 마음을 일렁이게 하는 어떤 '깨달음'에 가깝다. <숲속 가든> 속 네 편의 이야기는 '뼈 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숲속 가든'의 화자는 길에서 병아리 삼백오십 마리를 주워 식당에 맡긴다. 병아리는 죽지 않고 살아 닭으로 크지만 식당 주인 손에 잡혀 손님 식탁에 오르게 된다.
'지금 죽음의 게임을 할지언정 몇 개월이나마 걱정 없이 산 것으로 만족해야 할까?(숲속 가든)
작가는 이렇게 독자를 깊은 딜레마에 빠트린다. 주운 병아리를 살리기 위해 행한 나의 선행의 의미와 결과를 살피게 하는데 그치지 않고, 인간과 닭의 관계에 대해 아프게 성찰하게 한다.
'비단잉어 준오 씨'도 '숲속 가든'처럼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파고드는 신비한 이야기다. 이에 비해 '잠에서 깨면'은 치매에 걸린 할머니의 내면 상태를 잔잔하고 깊게 다뤄냈다. 개인적으로는 '잠에서 깨면'이 너무 좋아서 몇 번 더 읽었다. 늙음과 치매에 대해 오래 머물러 생각했다.
'이야기 동굴'에는 이야기의 신이 등장한다. 사람들이 신 앞에 모여 이야기를 듣는다. 신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고 난 뒤에 사람들에게는 삶에 대한 통찰과 절망을 이겨낼 희망이 남는다.
<숲속 가든>을 읽고 나니 새삼 이야기와 작가가 소중하게 느껴졌다. 이야기는 이토록 아름답고, 재미있고, 힘이 세구나. <숲속 가든>을 읽는 동안 각각의 이야기의 인물, 사건, 배경 따위를 따지며 머리로 분석할 필요가 없었다. 나도 모르게 빨려 들어 이야기를 쫓아갔고, 다 읽은 뒤에는 등골이 서늘해지는 통찰을 얻었다. 이야기의 어떤 장면이, 인물의 어떤 대사가 내 몸을 관통한 듯 잊히지 않았다.
어린이도 어른도 곁에 두고, 여러 번 읽을 만한 책이다. 재미있고, 깊이 있는 책이다.
#숲속가든
#한윤섭
#푸른숲주니어
#재미와의미
#뼈있는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