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루미너리스 1
엘리너 캐턴 지음, 김지원 옮김 / 다산책방 / 2016년 2월
평점 :
루미너리스(luminaries)는 점성술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두 별인 해와 달을 뜻한다고 한다. 책 제목만 보면 마치 이 책의 저자 같은 느낌이다. 책의 홍보 문구를 보면, 47년 맨부커상 역사상 최연소 수상작가라고 한다. 너무 천재적이어서 그럴까? 책의 소챕터의 제목만 봐서는 그 챕터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잘 파악되지는 않는다.

‘전갈자리의 화성’, ‘처녀자리의 토성’, ‘물고기자리의 수성’, ‘양자리의 초승달’ 등
그런데, 이 책의 두 번째 권의 감사의 말을 보면 왜 그런 제목이 나왔는지를 알 수가 있다. 저자가 점성술을 많이 참고했다고 쓰여있다.
책 내용은 뉴질랜드의 골드러시 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다. 골드러시를 듣는 순간 떠오르는 생각처럼, 금을 둘러싼 인간의 탐욕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별자리처럼 12명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이 책을 조금 더 재미있게 보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는 점성술의 별자리 내용에 대한 이해를 한다면, 소설 속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특성이 어떻게 별자리와 연관되어 있고, 소챕터의 내용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나 또한 아직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지만 위키디피아 점성술의 별자리 내용을 보면서 분명 그 의미를 파악한다면 이 소설의 묘미를 더 느낄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 소설의 2권의 내용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양자리는 집단적인 관점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황소자리는 주관적인 태도를 단념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쌍둥이자리의 규칙은 배타적이고, 게자리는 원인을 찾고, 사자자리는 목적을 추구하며, 처녀자리는 계획을 바란다.”

다음은 위키디피아의 내용인데, 이 내용을 보면서 이 책을 본다면 더 좋을 것 같다. 책의 별자리별 등장인물을 매칭시켜 놓은 것을 보면서 말이다. 참고로 책의 등장인물과 별자리는 다음과 같다.
타우에어는 양자리, 프로스트는 황소자리, 뢰벤탈은 쌍둥이자리, 클린치는 게자리, 매너링은 사자자리, 퀴는 처녀자리, 닐슨은 천칭자리, 프리처드는 전갈자리, 발퍼는 사수자리, 개스코인은 염소자리, 숙은 물병자리, 데블린은 물고기자리다.
[위키디피아 내용]
“각각의 별자리는 고대 원소들 중의 하나와 관련있고, 그것들은 극성에 따라 조화된다. 즉, 불과 공기의 별자리들은 양(陽) 또는 외향성, 남성의 별자리들이며, 반면에 물과 흙의 별자리들은 음(陰) 또는 내향성, 여성의 별자리들로 여겨진다.”

“행성의 주인지위(主人地位, rulership)란 행성과 상관 있는 별자리와 하우스의 간의 관계이다. 전통적 서양 점성술에서, 각각의 별자리는 하나와 일곱 개의 가시적 행성(점성술에서는 태양과 달을 발광체(Light)들로 칭하고, 다른 천체들은 축어적으로 방랑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행성들이라 부른다. 예를 들어, 항성들(the fixed stars)는 대조적인 떠도는 별들.) 중 단 한개에 의해서 통치된다. 전통적인 통지자의 지위는 다음과 같다.”

“본질적 위계(本質的 位階, essential dignity)로 알려진 점성술의 전통적인 신념은 태양과 달과 행성들이 어떤 별자리에서 그 별자리와 기본 특성이 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데서보다 더 강력하고 효과적이라는 개념이다. 대조적으로, 그것들은 어떤 별자리에서 그들의 본성이 그 별자리와 서로 상충하기 때문에 작용하기에 약해지거나 어려워진다고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