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제는 저항력이다 - 무기력보다 더 강력한 인생 장벽
박경숙 지음 / 와이즈베리 / 2016년 2월
평점 :
변화란 누구에게나 어려운 것이다. 변화를 거부하는 사람이 있는 가하면, 변화를 스스로 만들어가는 사람이 있다. 지금의 나에게 필요한 것은 아마 변화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변화를 만들어가길 원하지만 외적인 환경보다는 내적인 고민에 의해 변화를 만들어가질 못한다. <문제는 저항력이다>라는 이 책은 그러한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책에서 저항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에 반하려는 힘이라고 이야기한다. 사자와 낙타의 삶을 예로 들면서 주어진 환경에 익숙해지는 것이 아닌 야생의 사자로서의 삶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아무것도 안 하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퇴화하고 있는 중이다. 이것은 무서운 진실이다.”
사실 우리는 ‘현상유지’를 좋아한다. 삶 자체가 무한하지 않는데 굳이 변화를 즐길면서 살 필요가 있냐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삶이 유한하기 때문에 오히려 우리는 변화를 즐길 필요가 있다. 내적 저항을 거부하면서 말이다. 그렇지 않으면 스스로 무기력 한 삶에 빠지는 학습된 무기력을 겪을지도 모른다. 저자의 전작인 <문제는 무기력이다>에서 말한 것처럼 말이다.
“모든 준비가 완벽하게 되기를 기다리지만 그런 때는 오지 않는다”
우리는 아마도 ‘시간’을 핑계 삼아 스스로를 합리화시키는 일을 많이 한다. 이 뿐인가? 때로는 ‘부정을 위한 부정’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것들은 결국 자신의 성장을 정체시키고 저항력을 높여 무기력을 심화시킨다.
우리는 이런 저항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저자는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주요 엔진으로 동기, 인지, 정서, 행동 4가지와 그리고 의지를 바탕으로 저항을 극복할 수 있다고 한다. 메가엔진 그리고 뮤카엔진이라는 불리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말이다. 아래는 5가지 훈련의 핵심이다.
1. 욕망을 절제하고 용기를 키워라
2. 정서의 중립점을 찾아라
3. 직시 훈련으로 이성을 개발하라
4. 자발성이 생길 때까지 행동하라
5. 마음을 통제하고 수용하라
“사자로 살아가면서도 낙타 시절에 의존하던 주인에 대한 기억을 잊지 못한다면 그는 사냥을 할 수 없다. 우리가 독립된 개체로 자유롭게 살아가기 위해 가장 먼저 버려야 하는 성격 특성이 바로 의존성일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