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 동서대전 - 이덕무에서 쇼펜하우어까지 최고 문장가들의 핵심 전략과 글쓰기 인문학
한정주 지음 / 김영사 / 2016년 6월
평점 :
글을 쓴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머릿 속에 있는 자신의 생각을 글로 드러내면 될 뿐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머릿 속에 있는 생각이 그렇게 쉽게 정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글을 쓸 때 짧은 글을 쓰다 보면 조금씩 자신의 생각이 정리되고 그러다 보면 어느새 장문의 글을 쓰기 시작하는 것 같다.
<글쓰기 동서대전>은 동서양의 최고 문장가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서문에 나왔듯이 14세기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한중일, 서양의 문장가나 작가의 글쓰기가 어떠했는지를 보여준다. 마치 글쓰기에 대한 동서양 작가 비교 연구 느낌이다. 저자의 약 2년에 걸친 그 연구는 총 9가지의 글쓰기로 제시된다.
“동심의 글쓰기, 소품의 글쓰기, 풍자의 글쓰기, 기궤첨신의 글쓰기, 웅혼의 글쓰기, 차이와 다양성의 글쓰기, 일상의 글쓰기, 자의식의 글쓰기, 자득의 글쓰기“
이런 9가지의 유형의 글쓰기에 대해 동서양 문장가나 작가들을 제시하며 그들이 어떤 식으로 글을 썼는지 그들의 책들을 살펴보며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동심의 글쓰기에서는 이덕무와 괴테, 풍자의 글쓰기에서는 조너선 스위프트, 박지원, 오경재, 나쓰메 소세키 등을 제시한다.
“괴테나 박지원 같은 다른 사람의 묘책이나 비법을 길잡이 삼아 나아가는 가운데 자신만의 묘책과 비결을 스스로 깨달아 터득하는 것, 이것 이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 따라 글쓰기 철학과 미학의 궁극적인 경지는 ‘자득’일 수 밖에 없다.”
특히 이러한 글쓰기 유형은 시대적 맥락과 연관되어 설명되어지고 또 그런 시대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을 보면서 나에게는 동심의 글쓰기, 일상의 글쓰기, 자득의 글쓰기가 필요하지 않나라는 생각을 했다.
“글을 쓰는 사람은 모름지기 그저 자신의 천진하고 순수한 진정성, 다시 말해 진실을 솔직한 감정과 마음 그리고 뜻과 생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표현해야 한다.”
“옛사람들은 사물을 볼 때 진실로 기록할 만한 좋은 것이 한 가지라도 있을 경우에는, 그것이 미물이라고 해서 내팽개치지 않았다. 오히려 그 드러나지 않은 것을 수집하거나 열거하여 그 깊이 간직하고 있는 것을 환하게 드러내어 밝혔다.”
이 책은 글쓰기 방법은 가르쳐주지 않는다. 동서양의 최고 문장가들의 글쓰는 법을 보다 보면, 방법보다 더 귀한 것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