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의 배신
라파엘 M. 보넬리 지음, 남기철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누구나 완벽을 꿈꾼다. 완벽해지기 위해서 수 많은 시간을 투입한다. 하지만 완벽 그 자체를 추구하다 보면 스스로 지친다. 흔히 이야기하는 번아웃 현상이 나타난다. 물론, 완벽 그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사, 비행기 기장 등은 완벽을 추구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완벽이 누군가를 위한 것이 아닌 자신의 결점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떨까? <완벽의 배신>은 완벽주의가 완벽하기를 바라는 것과는 다른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완벽주의자는 자신만의 철옹성을 쌓아 나를 감추기 위한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이런 완벽주의자는 성과중심 시대가 낳은 산물이라고 이야기하면서 저자는 이런 사람들을 가면을 쓴 사람들이라고 부른다. 디테일, 완벽 등 이런 단어들은 우리 삶에 꼭 필요한 것들이다. 하지만 완벽주의자는 병적이고 신경증적이다. 성실과는 거리가 있다.

 

완벽주의자는 완벽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완벽주의자는 오직 불가침의 요새를 구축하는 데만 몰두한다.”

 

가끔 회사에 보면 완벽을 추구하는 분들이 있다. 하지만 그 중에는 어찌되었든 생존경쟁 시대에 자신의 결점을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 업무에만 몰두하는 분들이 있다. 이런 분들은 번아웃 직전까지 주변 사람들에게 신경질적 반응을 보인다. 심하면 이 책에서 말한 것처럼 비인간적인 모습까지 보인다.

 

완벽주의자는 스스로 사랑받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늘 위협받는다고 느끼기 때문에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완벽주의자라는 가면을 쓰는 것이다.”

 

성과주의가 낳은 산물인 완벽주의자는 단순히 업무에만 한정된 이야기는 아니다. 외모에 대한 집착 또한 잘못된 완벽의 추구다.

 

근육이 부실할수록 겁이 많고 여자들에게 거절당하고 멸시당한다고 생각한다. 적지 않은 남들이 단기간에 근육을 늘리기 위해 장기간 사용하면 인체에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키는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제를 남용하고 있다.”

 

잘못된 완벽의 추구를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인가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자신의 불완전함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완벽한 사람은 없다. 무조건 해야 하는 일이나 무조건 되야 하는 일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모두에게 인정받을 필요는 없다. 우리는 실패를 인정하고 세상은 언제나 불완전함을 인지해야 한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니다.

 

불완전함을 인정해라! 완벽주의 치료에서 마법의 주문 같은 말이다. 완벽주의 환자는 자신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지금 당장 가면을 벗어던지고 자신을 돌보는 일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