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계약론 - 쉽게 읽고 되새기는 고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청소년 권장도서 선정 ㅣ 클래식 브라운 시리즈 5
장 자크 루소 지음, 김성은 옮김 / 생각정거장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장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인간
불평등 기원론>,
<에밀>
등을
집필했다.
특히
<사회계약론>은
프랑스 혁명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
책은 루소의 <사회계약론>에
대해 쉽게 설명해주는 책이다.
루소는
계몽주의자였지만 자연을 소중하기 여겼다.
하지만
인간이 자연으로 다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저자의 말처럼 순수한 마음을 잃어버리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
책은 루소의 <사회계약론>
내용의
일부를 발췌해주면서 설명을 하고 있어 핵심을 이해하기는 쉽다.
사회계약론은
말 그대로 사회는 계약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질서는
다른 모든 권리의 바탕이 되는 신성한 권리다.
그렇지만
이 권리는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계약에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인간은 생존을 위해 사회계약을 체결했다.
그리고
그 계약은 일반의지(공동체를
위한 의지),
정당한
권력에 대한 복종에 기초한다.
또한
사회계약론에 의해 재산은 사회의 것이라고 한다.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정치도 다루고 있다.
그래서
주권은 양도할 수도,
분할할
수도 없다,
법은
일반의지의 기록이다,
국법보다
자연법이 우선이다,
정부는
일반의지를 실행하는 중개자다,
주권을
유지하려면 국민이 모여야 한다 등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지금 우리사회에서도 중요한 내용이다.
물론,
이상적인
측면도 있지만 한 번쯤은 생각해봐야 할 것들이다.
“주권은
일반의지의 행사일 뿐이므로 결코 양도할 수 없으며,
주권자는
집합적 존재이므로 오자기 자신에 이해서만 대표될 수 있다.”
“정부란
무엇인가?
정부는
신민과 주권자 사이의 상호 소통을 위해 설립된 일종의 매개체로서,
법을
집행하고 시민의 자유와 정치적 자유를 유지하는 책임을 맡는다.”
루소는
또 정부는 계약 행위에 의한 것이 아니어서 국민이 정부를 폐기할 수도 있다고 말한다.
홉스의
<리바이어던>과
달리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국민
전체가 공통된 의지를 갖는다면 기존의 정부를 폐기하고 새로운 정부를 수립할 수 있다’고
말한다.
<사회계약론>
원본을
읽고 나서 이 책을 읽으면 더 좋을 것 같다.
부분
발췌형식이어서 저자의 논리를 따라가야 하기 때문이다.
원본을
읽으면서 저자의 논리와 자신의 생각을 같이 비교해보면 더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