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
김신회 지음 / 놀 / 2017년 4월
평점 :
하얀 바탕의 귀여운 동물 모양의 캐릭터가 그려져 있는 책이 있다. 바로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다. 책에 그려져 있는 캐릭터는 보노보노로 혼자서도 잘 놀지만 소극적이다. 이 책은 이 보노보노 만화를 통해서 느낀 점을 하나씩 하나씩 써서 모은 책이다.
만화나 애니메이션을 보다 보면 우연치 않게 내가 삶을 살아감에 있어서 위로가 되는 혹은 격려가 되는 이야기들이 많다. 특히 어린 아이들 만화를 보면 더 그렇다. 교육적인 측면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어렸을 때 느끼지 못했던, 어쩌면 지금 상황에서만 느낄 수밖에 없는 것들.
‘서툰 어른들을 위한 에세이’라는 말처럼 이 책은 보노보노를 통해 서툰 어른들이 어떻게 생각을 바꾸어야 하는지 알려준다. 바꾼다기 보다는 어떻게 지금 느끼는 그 감정을 잘 갖고 있어야 할지를. 사실 사람들이 사회 속으로 들어오면서 혼자일 때 겪지 못할 많은 것들이 있다.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인 ‘관계’다. 지금까지 관계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제는 관계도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수 많은 네트워크를 가지는 관계를 꼭 가질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한 번 내 것이 된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들, 순간순간의 잔재미보다 마음을 나누는 일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 누군가가 품은 진심을 결국에는 알아차리는 사람들. 그들은 관계를 향해 전력 질주하기보다는 천천히 걸어가는 걸 즐긴다.”
마음을 나누고 가치를 나누는 사람들과 함께 ‘관계중독’에 빠지지 않고 자신을 토닥이며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할 때이다. 저자 또한 기존의 어른들의 사고 방식에서 벗어나 다른 관점에서 생각하게 하는 것들을 보노보노의 이야기를 통해 알려준다. 아마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꿈이 아닐까?
“나이를 먹어서도 꿈꾸는 일에 게을리하지 않는 모습은 나름대로 아름답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어른이 꿈을 갖고 살아가야 하는 건 아니다. 삶을 비참하게 느끼게 만들고 일상을 고단하게 하는 꿈이라면 평생 이고 지고 살 필요는 없다.”
어떻게 보면 우린 주입식으로 꿈을 만들어왔다. 스스로 생각하는 꿈은 좋지만 만들어진 꿈은 언젠가는 ‘꿈 깨’라는 말처럼 깨질 수 있는데도 말이다. 주입식 ‘관계’도 마찬가지다.
“관계는 참 어렵다. 아닌 척 발을 빼고 있다가도 불쑥 마음을 다 쏟아 붓고 만다.”
이제는 다소 서툴러도, 다소 소심해도 자신을 미워하기 보다는 내가 가는 길이 또 다른 길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다. 많은 길이 있음에도 우리는 항상 지름길만 찾으려고 했다. 그게 정말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도 모르고.
“가장 멋진 사람은 꿈을 이룬 사람이 아니라, 꿈을 이루지 못하더라도 자신을 미워하지 않는 사람이다. 꿈 같은 거 이루지 못한다고 해서 가치 없는 사람이 되어버리는 건 아니니까.”
삶에 조금 지친 사람이라면 ‘보노보노’를 통해 내 마음 속에 꿈틀대던 또 다른 가치나 길을 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 이 책을 통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