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 그림 속 의학 이야기 - 고대의 주술사부터 미래의 인공지능까지
이승구 지음 / 생각정거장 / 2017년 4월
평점 :
품절


고대 의사들은 뱀이 휘감고 있는 지팡이를 의사의 특별한 상징으로 여겼으며, 이것을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라 불렀다. 아스클레피오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의학의 신으로서 기원전 550년경 히포크라테스보다 100년 전에 실존했던 인물이다.”

 

<천년 그림 속 의학이야기>는 책 제목에서도 나와 있듯이 의학에 방점을 둔 책이다. 의학의 시작, 발전, 수술과 해부, 새로운 의술과 기계, 의사와 간호사들 등을 주제로 의학의 전반적인 이야기를 다룬다. 이런 이야기 속에서 의학과 관련된 그림들이 있으면 이를 소재로 의학을 설명해준다.

 

그래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그림 이야기는 많지 않다. 반 고흐, 뭉크, 르네 마그리트 등이 나온다. 반 고호의 <귀에 붕대를 감은 자화상>, 뭉크의 <절규>, 르네 마그리트의 <골콘다>. 많이 알고 있듯이 반 고흐는 정신병에 시달렸고 자신의 귀를 면도칼로 자르기도 하였다. 그래서 정신병원에 입원 하기도 했다. 뭉크 또한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불안을 안고 살았다.


 

 

반면 르네 마그리트는 화가의 이슈 보다는 그의 그림이 현대인의 정신적 고통을 다룬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그림에 기반 한 내용도 있지만 치과, 성형수술, 안과수술, 콘돔 등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사람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의학과 가까이 있다. 과거의 의사와 현재의 의사가 어떻게 달랐으며, 의사, 간호사, 그리고 의술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쉽고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 책은 좋은 가이드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