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
아민 말루프 지음, 김미선 옮김 / 아침이슬 / 2002년 4월
평점 :
십자군전쟁은 내겐 세계사를 배우면서 미스테리로 남아 있다. 어떻게 이렇게 집단적인 광기에 사람이 사로잡힐 수 있는가 하는
의문때문이다. 2차대전의 나찌독일이나 가까운 2002년 한일월드컵의 집단광기를 보면..약간은 이해할 수 있는 부분도 있긴
하지만.
그러나 2차대전이나 월드컵은 생생한 기억과 역사적 사료가 다양하기때문에 어떻게 그런 과정을 밟게되었는지 어느정도 추적이
가능하다. 이와달리 십자군전쟁의 경우 신비주의적인 설화가 혼합되어있어서 정확히 어떻게 그런 광기를 발휘할 수 있게 되었는지
정확히 추적하기가 쉽지가 않다. 결과론적으로 사리사욕을 위한 전쟁이었겠지만 그 결과를 놓고 과정을 추적해 갈 수는 없다.
이렇게 십자군전쟁에 대한 의문점을 가지고있는 상황에서 신문에 실린 [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전쟁]은 관심이 크게
갈수밖에 없었다. 내용은 말 그대로 아랍측 사료로 본 십자군 전쟁이다. 십자군전쟁이 어떻게 해서 발발하게되었나 하는 의문점을
풀수있는 내용은 아니지만, 단편적인 십자군전쟁을 어느정도 입체적으로 조망할수 있는 시각을 마련해 주는 것같다. 학술적인 내용이라
예상했으나 그냥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놓아서 쉽게 읽을 수 있다.
당시 문화적으로나 과학적으로 유럽과는 비교도 안될만큼 발달했던 아랍권이 어째서 초기 십자군의 침략에 무력하게 무너졌는지, 그리고
다시 몰아내기까지 200년이나 걸렸는지 그 단순한 이유는 통치시스템이었던 것 같다. 술탄이 죽으면 그 아들들이 땅을 나눠가지고
서로 다투게되는 역사의 반복은 순탄하게 권력이양이 되는 유럽에 비해 단결된 힘을 발휘하기가 힘들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의 반복은 근대까지 이어졌고 중동에 전쟁이 끊임없었던 이유이기도 했다.
사자왕 리처드와 살라딘부분은 살라딘에 관한 평가가 유럽에서도 이미 높았던 만큼 매력적인 이야기이다. 그리고 유럽의 치사함이 여기서는 숨김없이 기술되고있어서 재밌었다.
여전히 십자군에 대한 의문점이 가시진 않지만 한번 읽어볼 만한 책인것같다.-- Nyxity 2003-2-1 2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