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플랫폼 제국의 미래 -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그리고 새로운 승자
스콧 갤러웨이 지음, 이경식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반 대중의 감수성을 무시한 구글 글래스의 긱(geek)함을 비판하는 원서의 이 대목에서, 저자가 약 빤거 아니냐는 생각이 들 정도로 신랄한 표현이라 생각했던 부분을 그저 ˝섹시하게 보일거라는 예상과는 달리 불쾌감만 들게 했다˝ 라고 번역할 수 밖에 없있을까? 이 책이 타겟팅하는 30대 후반부터 50대 초반 비즈니스맨 또는 경영 실무자 때문에 한국 특유의 엄숙주의에 빠진게 아닐까 싶다.

˝The Four˝ 라는 4글자 심볼에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 애플을 담아낸(궁금하면 원서 책 표지를 보시라) 원서의 위트가 ˝플랫폼 제국의 미래˝라는 거창한 타이틀로 둔갑하고, 시급 13달러 점원으로 학비를 벌어가며 탑 클래스 대학을 나와 십여 스타트업을 창업하며 고진감래를 겪고, 기어코 상류층에 안착한 저자의 유쾌하고 저돌적이며 통쾌한 비유와 표현(그리고 욕설)이 자체 검열로 사라져 김빠진 콜라처럼 밍밍하게 된 것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랫폼 제국의 미래 -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그리고 새로운 승자
스콧 갤러웨이 지음, 이경식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을 잘 하는 양반인데 가끔 이렇게 의아한 부분이 나온다. 아이폰 사용자가 섹스 어필에 성공해서 맨날 밤을 불태우는게 아니라, 상당수가 혼자 지내는 게 현실이지만 럭셔리한 아이폰을 산다는거 자체가 벅찬 감정을 느끼게 하고 행복감, 성취감을 느끼게 하는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한다는 얘긴데 완전 반대로 설명해놨다. 이런 오역이 왜 일어났을까? 알바생을 쓴건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랫폼 제국의 미래 -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그리고 새로운 승자
스콧 갤러웨이 지음, 이경식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청나게 (약간은 정신 나갔다는 생각 들정도로) 유쾌한 책. 원서로 읽으면서 도저히 이해 안가는 부분만 번역서 참고중인데 번역의 퀄리티는 나쁘지 않지만 의역이 지나치다. 예를 들어 아래 소제목 의역은 시니컬한 원작의 블랙 조크 풍미(?)룰 떨어뜨리는 너무 젊잖은 번역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봇 시대, 인간의 일 -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야 할 이들을 위한 안내서
구본권 지음 / 어크로스 / 201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인문학과 대학 교육의 전망을 제대로 짚는 문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Lovely Bones (Mass Market Paperback)
앨리스 세볼드 지음 / Lb Books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2주에 걸쳐 겨우 다 읽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여류작가의 섬세한 문체, 심리묘사를 느낄수 있는 수작이며 토막살인이라는 비극적이고, 어쩌면 타블로이드 같은 잡지며 신문이며 방송등에서, 사회 이슈로서 한 사건으로서 비극적으로 -- 단순히 비극적이고 비인간적으로 -- 다루어질 수 있는 소재를 '처참하게 살해당한 한 개인의 시점' '가족의 상실과 극복' 이라는 관점에서 지극히 인간적으로 다루어 낸 소설이라고 생각됩니다. 중간까지는 긴박한 전개와 살인범에 대한 궁금함 때문에 계속 몰입해서 책을 넘기게 하는(Page Turner) 내용이었는데 중반 이후부터는 전개가 다소 느슨해져서. 가족들의 변화에 대한 일대기적인 전개가 뒤를 잇습니다. 아이를 잃어버린 아빠와 가족들의 변화에 대한 묘사, 전지적 작가시점을 천국에 있는 딸의 눈으로 바꿔버린 참신함, 여류작가로써 만져주는 엄마 애비게일의 익명의 엄마가 아닌 '개인적인 삶'에 대한 열망. 카뮈,책을 많이 읽은 여류작가인 듯, 여러 문학 책 속에서 가져운 구절들이나 경구들이 인상적인 책이었습니다. 채은 다소 읽기 어렵습니다. 우리나라 책으로 따진다면, 시적인 문체(?)라고 해야할지... 보통 문장이 아니라, 단절된듯한 문장이 주를 이룹니다. 단어도 쉽지 않습니다. 또한 내용을 읽으려면 미국 중학생들이 영어 시간에 읽는 문학책들에 대해 약간 지식이 있어야 할 듯 합니다. 군데 군데, 책들에서 인용한듯한 문장이 많이 나오는데 이해가 안되서 많이 헤맸습니다. -- 스포일러 주의 -- 결국 해피 앤딩은 없더군요... Lovely Bones 최소한 뼈라도 찾을 수 있을 줄 알았는데 Bones는 Bonds 의 동명이어라는 느낌이 드네요 딸이 죽고, 아빠는 페인이 되고, 가족의 생활은 엉망이 되고, 엄마는 집을 나가고, 막내 버클리는 움막속에서 아픔을 이겨내가고... 결국 범인은 잡히지 않고, 뭐 나중에 고드름에 맞아 비틀거리다 죽긴하지만... 그게 죄값을 치룬걸까요? 가족은 결국 회복되지 않고... 딸을 가진 아빠로써 정말 씁쓸하게 본 책이 되겠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