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 12가지 '도시적' 콘셉트 김진애의 도시 3부작 1
김진애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도시공간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이런 교양서적, 인문사회 도서를 즐겨하는 편이다. 이번에 <김진애의 도시이야기>를 알기전에 알쓸신잡을 통해 알게된 인물이다. 김진애는 건축가이자 전 국회의원이다. 김진애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자면 다음과 같다. 



<김진애의 도시이야기> 외에 도시와 관련되 책이 많다. <도시의 숲에서 인간을 발견하다>, <우리 도시 예찬>, <집 놀이> 등등 읽어보고 싶은 책이 많았다. 저자의 책들 중에 스타트가 된 <김진애의 도시이야기>는 정말 어렵지 않고 도시에 대한 다양하고 재밌는 이야기들을 쉽게 풀어썼다. 



1부 : 모르는 사람들과 사는 공간 / 1부 에서는 익명성, 권력과 권위, 기억과 기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2부: 감이 동하는 공간 / 정조, 수원 화성, 주합루를 시작으로 해서 통영, 강화를 찍고, 공간에 숨의 함의점이라고 볼 수 있는 차이, 차별, 혐오 등 각종 도시의 코딩과 디코딩을 담고 있다.


3부: 머니 게임의 공간 / 부패와 욕망, 탐욕 등 도시가 발달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생겨나고 있는 도시 공간의 대명사 라고 볼 수 있는 '아파트 공화국', 과거의 도시를 보며 욕망과 탐욕을 볼 수 있는 '바벨탑 공화국'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 


4부: 도시를 만드는 힘 / 도시 간 양극화, 신도시 등 화려한 도시의 양면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 내가 가장 인상깊게 본 파트이다. 설계로는 절대 만들 수 있는 신도시, 달동네 이야기가 인상적이다. 


​'길'을 등장시켜보자. 현대도시의 익명성과는 달리, 길은 도시가 생겨난 이래 계속 존재해온 공간이다. 기실 사람이 모여 살면 생기지 않을 수 없는 공간이 길이다. 집은 생겼다 허물어졌다 다시 지여졌다 변화를 반복하지만 길은 대체로 그대로 있다. "태초에 빛이 있었다"를 패러디하면 "도시에 길이 있었다"라 할 수 있을 테다. 적어도 '길이 만나는 곳에 도시가 생겼다'. _ 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책 중간중간 삽입된 그림이 인상적이다. 동양과 서양의 물건을 배치한 그림들인데 요즘 이런 그림에 관심이 많이 가던 때 <김진애의 도시 이야기>에서 이런 그림을 보니 확실히 도시의 양면성을 드러내는 <김진애의 도시 이야기>와 찰떡이었다. 



도시 문제가 우리 삶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도시를 이해함으로써 우리 삶이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 여실히 깨닫게 해준다. 


화려한 도시 뒤에 숨겨진 익명성이 재밌었다. 화려함에 숨겨진 권력, 욕망, 차별, 차이, 격자도시, 무분별한 도시개발 등의 키워드가 담겨있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전문가가 들려주는 도시 이야기라 전문성있으면서 쉽게 읽을 수 있어서 책이 지루하지 않았다. 



대안을 찾고 변화를 모색하는 요즘 도시가 어떻게 하면 인간과 함께 다채로운 성장을 할 수 있는지 볼 수 있다.



건축으로 식작해서 도시공간을 연구하는 김진애에게 배우는 도시는 사랑과 갈등이 공존하는 도시공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