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코리아 2025
김상균 외 지음 / 파지트 / 2024년 11월
평점 :
해마다 다음해를 전망하는 트렌드의 책이나 영상정보들에 관심 많으시죠? 트렌드의 종류는 사회 구조나 라이프 스타일, 가치관에 변화로 나타나는 흐름이자 데이터를 분석해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AI 코리아 2025 도서는 제목에 트렌드의 단어는 없지만 AI시장에서 한국과 글로벌 기업의 미래에 대한 어떤 변화와 기회를 예측하는지 업계의 방향을 형성하는 주요 트렌드를 살펴보고자 읽게 되었습니다.
< 저자소개 >
김상균, 민환기, 박성진, 신민호, 양석용, 이광호, 이상윤, 이영래, 장정권, 최성은 공동집필.
<대한민국은 IT강국이지만 AI 강국은 아니다>
"대한민국은 이제 반도체를 넘어서야 한다" 라는 주제로 기회의 분야에 어디에 있는지 전망하고 있는데요.
기존 거인들의 지배력(OpenAI, NVIDIA, Microsoft, Google 등)은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있고 AI영역에 막강한 영향력이 있습니다. AI 기반 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는 특정 시장에 맞춰진 틈색 AI서비스에 적합한 미개척된 잠재력이 있는 분야를 공략해야 하는 전략을 제시하고 국내기업들의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 및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거대 기업이 AI 인프라 분야를 계속 지배할 가능성이 높지만 미래에는 서비스가 부족하거나 잠재력이 높은 분야에서 적응하고 혁신하는 기업에 달려 있습니다.
<농업과 기술의 합성어 - 애그테크(AGTECH)>
건물내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스마트팜에 도입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스마트팜의 빛 생성 추진과 AI농업을 통한 새로운 창업의 기회로 새로운 가치창출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사람없이 무인으로 작업할 수 있는 자율주행 트랙터가 출시되어 농작을 할 수 있는데요. 과학 발전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질것이고 AI의 지적 수준도 덩달아 가속 발전하게 될 것이기에 농업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와 시스템의 수요도 커질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MICE, 철강, 의료, 교육, 엔터테인먼트, 제약, 법률, 정책 등 AI로 발명할 수 있는 분야와 융합되어 광범위의 분야들의 혁신적인 결과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AI의 발달은 프로그래밍. 즉, 컴퓨터의 언어를 인간이 배우는 게 아닌 AI가 컴퓨터의 언어를 사용해서 인간과 소통하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기에 생물학뿐만이 아닌 전 학문에서 기초학문의 위치가 점점 올라갈 것이라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이 책은 초보자가 읽기에 다소 분야별로 어려운 내용이지만 정보 제공과 경제 도서 사이에 좋은 지식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비지니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 분들에게 더 활용도가 높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