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우상향 사이클의 법칙 - 2022-2027 앞으로 5년 대한민국
이승훈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이 지날수록 집을 사기 힘들다는것은 지금 또 결정하지 않으면 1년 뒤에는 지금보다 더 힘들것으로 보고 있다.

전세제도가 사라지게 된다면 무주택자들은 월세로 생활하게 될 것이고 소득의 대부분을 누군가에게 주는 인생을 살야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집을 사지 않는 이유는 집값이 비싸기에 집값이 떨어질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마음은 이해하지만 하락한다는것은 정답이 아니기에 저자는 생각을 바꾸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전세값이 오르고 있는데 불안해서 어떻게 살까.

계속 돈 모아서 전세값만 올려주고 작은 집이라도 내 집 마련을 해야 한다. 투기가 아니라 내가 살 빌라나 아파트 1채는 가지고 있어야 안심이 되고 부동산이 상승할때 자산가치도 상승되고 보험의 성격이 된다.

자산의 가치상승으로 유주택자는 상승쪽에 기대할 것이고 무주택자는 하락쪽에 기대하고 싶은게 사실일것이다. 5년전에도 누구든 부동산 가격이 싸다고 산사람은 없었으며 상승에 목적을 두고 용기에 투자한 것이다.

서울 인구 100년 뒤 4분의1로 재앙적 소멸될 것으로 보고된바 있으며 2019년부터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가구수(세대)의 증가와 저금리로 인해 도시로 집중될수 밖에 없으며 투자자들은 임대수익을 낼수 있는 방법을 찾아 이동하고 있다.

챕터마다 핵심을 정리해주고 있어 적절한 포인트를 찾기 쉽게 한다. 자연 친화적인 아파트와 아파트 커퓨니티가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는 이유. 대형 학원가와 좋은 기업체가 포진되어 있는 곳. 3기 신도시와 미래의 교통과 재개발 지역 등 상세한 지역 분석과 부동산 투자의 대한 전망과 합리적인 이유를 다루고 있어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것 같다.

현 정부시대 영끌 부동산 투자에 대한 화두는 끊임없이 논란이 많다. 일부 유투버들은 수도권집 영끌해서 절대 사지말라고 대출이자에 대한 부채와 예기치 못한 주택공급계획,경기침체 등 변동성이 크기 때문인데 부동산 폭등할지 폭락할지는 예측할수 없는 신의 영역이다.

부동산은 수십년간 계속 상승을 했고 정부가 집값을 잡으려는 의지는 강하나 집값을 잡지 못했고 정책이 나오고 나서 풍선효과. 주목효과가 일어나서 오히려 조정대상지역, 규제지역을 유명한 지역으로 인식하게 하여 사람들이 더 선호하게 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대책을 두려워하는것이 아니라 이번에는 어느 지역에풍선효과가 일어날지 찾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에 오히려 대책을 기회를 기다리는 사람들도 있다. 이렇게 정책만 나오다가는 부동산시장을 왜곡시키고 더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성공적인 부동산 가치투자와 함께 불확신한 시대에 대비해야할지 방향을 찾고자 한다면 우상향 법칙의 필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