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세 몬테소리 믿음 육아몬테 너를 믿어, 너라면 괜찮아 - 몬테소리 교사가 알려 주는 상황별 맞춤 육아
아키에 지음, 박재현 옮김 / 랜딩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는 키울수록 어렵고 성장할수록 새로운 문제를 대면한다는 말을 요즘 들어 절실히 느끼고 있는 올해로 6년 차인 두 아이 엄마지만, 몬테소리 교육은 한 번도 접해보지 못했다. 솔직히 정밀 많이 들어는 봤지만 정확하게 어떤 신념과 무엇에 가치를 두고 있는 교육인지는 전혀 알지 못한 채로 <너를 믿어, 너라면 괜찮아>를 읽게 되었다.

몬테소리 교육은 아이의 자율과 자립을 목표로 아이를 이해하고 믿음을 가지고 한 사람으로서 존중하는 마음을 항상 밑바탕에 깔아두고 아이를 대하는 게 첫 번째 시작이다. 목표를 위해서 집에서 해볼 수 있는 교육 방법들을 짧게 본다면, 아이의 욕구를 채울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고, 관찰하고, 본보기를 보인 후 지켜본다.

내가 접목해 봤을 때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한 가지는 관찰을 해서 아이가 지금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지금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알고자 하는 것 같다.

아이에게는 굉장히 커다랗고 중요한 발달과정 중 하나지만, 부모가 볼 때는 의미 없는 아주 사소하고 하찮은 것들로 보인다. 그렇지만 아이도 자기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할 줄 아는 한 사람이기 때문에 육아가 내 맘대로 안 된다는 것, 아이가 내 뜻대로 움직여주지 않는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치이지 않을까.

'지금'을 최선을 다해 에너지를 쏟으며 살고 있는 아이들에게 우리는 너무 '멀리'만 보라고 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너를 믿어, 너라면 괜찮아>에서는 여러 상황을 예로 들며 어떤 방법으로 이야기하고 행동해 주어야 하는지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길을 알려주고 있다. 나도 참 많은 고민들이 있었는데 여기서 해답을 찾은 것들이 많았고, 아이들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의 발달단계에 따라 특성이 있어서 그때마다 다른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제야 알게 되었고, 지금은 아이가 조금이라도 더 욕구를 채울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게 되었다. 정말 첫째 아이에게 많이 미안하지만 이제라도 알게 되어서 다행이라 생각하고 아이가 자립할 수 있도록 더욱 믿어주고 응원해 줘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안아 줄까?
꼼꼼 지음 / 냉이꽃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스러운 우리 아기.

나의 뱃속에서부터 키워 온 소중한 우리 아기.

누가 안아 줘야 할까?

당연히 엄마가 안아주고, 아빠가 안아줘야 하는 거 아닐까?

그런데 이 책의 제목인 <누가 안아 줄까?>만 보고도 많은 반성이 되면서 우리 아이들 내가 더 열심히 많이 사랑해 주고 안아줘야겠다는 생각이 물씬 들었다.

괜히, 아니 많이 미안해진다. 항상 둘째를 우선으로 돌보느라 큰아이와 많이 놀아주지도 못하고 이야기 나눌새도 부족한데 아이는 항상 엄마가 제일 좋다고 해준다.

<누가 안아 줄까?>를 읽고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된 것 같다. 아주 사소하지만 사소하지 않은 것. 아주 당연하지만 당연하지 않은 것. 표현한 것과 안 한 것은 아주 많은 차이가 난다는 것 말이다. 이 책을 일부러라도 자주 읽어줘야겠다. 그리고 꼭 안아주어야겠다. 사랑을 받아봐야 나를 사랑할 수 있고 남도 사랑할 수 있을 테니.

* 서평 이벤트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료로 받아서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이 난다!
꼼꼼 지음 / 냉이꽃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정말 책을 통해 많이 배우는 엄마다. 아이가 블록이나 색종이 등 무언가를 만들다가 잘 안되거나 하면 속이 상한지 가끔 울 때가 있는데 그럴 때면 나는 "이렇게 저렇게 하면 되지 왜 울어~"라고 이야기하고 도와줬었다. 아이는 그저 생각대로 잘 안되니 속상해서 눈물이 난 것인데 나는 또 그런 게 답답해서 잔소리 아닌 잔소리로 받아냈다. 그런데 <연이 난다!>의 동물 친구들은 "우리가 도와줄게!"라고 말한다. 이걸 보고 탄식을 했다.

                            

*서평 이벤트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료로 받아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쉿, 까꿍!
꼼꼼 지음 / 냉이꽃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개월 이후부터는 우리 아이를 뭐하고 놀아줘야 하는지 참 고민이 많다. 이 조그만 아이와 무얼 할 수 있을까? 엄마들은 고민이다. 무언가 해주고 싶은 게 엄마 마음이 아닐쏘냐. 나는 내가 생각하는 쉽고 쉬운 육아법 중에 하나는 책 육아라고 생각한다.

뭐든 그렇지만 시작하기까지가 어렵지 하다 보면 무척이나 쉽다. 그래서 이번에 읽어준 책은 <쉿, 까꿍!>이다. 제목과 겉표지의 그림만 봐도 어떤 내용일지 상상이 가는 까꿍 놀이 책. 커다란 바구니 속에는 과연 누가누가 살고 있을까?

                            

                            

또 8개월~12개월 사이에 획득하는 대상 영속성은 시야에서 사라진 대상이 여전히 존재함을 아는 것인데 까꿍 놀이를 통해서 기를 수 있어서 아기에게 자주 해 주면 좋다. 둘째 아이는 이미 15개월이 막 들어서서 이제 옷 속에 숨기면 옷을 들쳐보는 시기지만 아직도 까꿍 놀이를 엄청나게 좋아한다. 동물 그림을 가리며 어디 갔지? 하면 아기가 손을 치우며 굉장히 좋아한다. 하루에 몇 번씩 보여달라며 <쉿, 까꿍!>을 들고 와서 귀찮을 때도 있지만 책을 읽어주며 아기도 좋아하고 엄마인 나도 같이 웃을 수 있고 힘들이지 않게 아이를 돌볼 수 있어서 참 좋다.

* 서평이벤트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료로 받아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꾸는 엄마의 미라클 모닝 - 엄마의 24시간을 긍정적으로 만드는 힘
김연지 지음 / 유노라이프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가 되고 나서 웃음과 행복, 사랑과 기쁨 등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는 아이들 그 자체만으로도 참 풍족하고 풍만해진 것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반대로 부족한 시간, 부족한 잠, 부족한 마음 챙김 등 부족한 것들도 많아졌다. 엄마에게는 풍족한 것들이 많아졌지만, 한 명의 독립적인 나 자신에게는 부족한 것들이 많아졌다. 이유는 '아이' 덕분이다. 아이 덕분에 풍족해졌고, 아이 덕분에 부족해졌다. 그런데 아이 핑계로 이 부족한 것들을 부족한 채로, 충족시키지 못한 채로 살아갈 것인가? 나의 대답은 '아니오'다. 그렇다면 어떻게 충족시켜야 할까?

해답은 저자 김연지의 <꿈꾸는 엄마의 미라클 모닝>에 나와 있다. 제목에 대놓고 나와 있듯이 아침을 통해 채우는 방법을 알려주는데 이 아침 시간을 만들기 위한 하루 시간 관리 비법과 시간에 쫓기지 않는 미니멀 살림법 등등 유용한 방법과 정보들을 아낌없이 뿌려준다.

육아로 인해 잠은 부족하고 피부는 푸석거리고 내 시간도 없고 모든 게 너무 힘들고 지쳐 이대로 떠나버리고 싶은데, 그런데! 새벽 5시에 일어나면 이것들이 다 해결되는 게 맞는 걸까? 잠이 부족하다니까 새벽에 일어나래. 이게 맞는 걸까? 싶지만 저자 김연지는 당당하게 권한다. 맞다고. '모닝 레시피'라 일컫는 저자만의 그 시간으로 인해 아주 많은 것들이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많은 것들 얻었다고. 새로운 인생을 얻었다고. 그러니까, 한 번 해보라고. 새벽에 일어나는 성공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말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 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정확한 동기부여가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몇 번 시도하다가 흐지부지 끝나버리고 말 테니까 말이다.

그래서 나는 강력한 목표를 두고 한 번 해보려고 한다. 내 주위의 부정적 기운을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해, 새로운 인생 한 번 살아보기 위해. 그리고 우리는 무언가 부족했던 게 아니고 필요했던 거였다. 필요하니까 한 번 해보려고 한다. 미래는 알 수 없으니 지금 이 순간, 최선을 다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